- 입력 2025.11.23 16:53

[뉴스웍스=최윤희 기자] 수원특례시의회는 지난 21일 열린 상수도사업소 행정사무감사에서 행정 효율화 방안 마련 및 안전관리 제도 강화를 촉구했다.
유재광 의원(국민의힘, 율천·서둔·구운·입북)은 원격 검침 시스템 도입에 따른 행정 효율화 방안 및 노후 관로 정비율 재고를 강력히 주문했다.
유 의원은 원격 검침시스템 구축이 완비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민간 검침원을 동일하게 운영해 ‘검침’이라는 업무 하나에 시스템 개발비, 장비 관리비, 인건비가 중복으로 투입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기술 발전으로 원격 검침 시스템이 고도화되고 있는 만큼 이에 걸맞은 인력 운용의 변화도 필요하다"면서 "기존 검침원들의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는 직무 전환이나 인력 재배치 등 기술과 사람이 상생할 수 있는 단계적 로드맵과 출구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노후 상수도관 정비 속도가 노후화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점에 대해선 "정비를 하고 있음에도 싱크홀 등 안전사고 위험은 여전하다"며 "장기적인 노후관 교체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사고 예방 중심의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현장의 효율성과 주민 체감도를 높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앞으로 불필요한 행정 중복을 줄이고 시민의 입장에서 투명하고 책임 있는 물 관리 행정을 만들어달라"고 당부했다.

최정헌 의원(국민의힘, 정자1·2·3동)은 최근 수년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수도관 파손·파열 사고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
특히 상수도관 노후화로 인한 싱크홀·침하 사고가 반복되며 시민 안전과 재산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보다 체계적이고 선제적인 예방 및 관리 체계 구축을 주문했다.

김동은 의원(더불어민주당, 정자1·2·3동)은 시민 생활과 밀접한 상수도 행정의 제도 개선과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수도요금 감면 대상자가 관내에서 주소지를 변경했을 때 재신청을 해야 하는 불편함과 다자녀가정·조손가정의 경우 동일 주소지 요건 때문에 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례를 지적하며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아울러 '녹물 없는 우리집 수도관 개량사업'과 관련해 "제도가 있음에도 몰라서 신청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적극적인 홍보와 안내 체계가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상수도 민원시스템의 혁신 필요성을 언급하며 AI 민원 챗봇 등 디지털 기술 도입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상수도 분야에 AI모니터링·예측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해외 선진 사례를 벤치마킹해 수원시도 조기 도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