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4.01.11 10:03

부동산PF 불안 변수에도 '물가 안정' 우선한 듯

한국은행 본관 전경. (사진=뉴스웍스DB)
한국은행 본관 전경. (사진=뉴스웍스DB)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새해에도 동결됐다.

한은은 11일 새해 첫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3.50%로 유지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은 기준금리는 지난해 1월 0.25%포인트 인상돼 3.50%에 도달한 뒤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연속된 8번의 회의에서 모두 동결됐다. 금통위의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는 매년 3, 6, 9, 12월을 제외하고 8번 열린다. 1년째 동결인 셈이다.

금통위의 이번 결정은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만큼 금융시장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시장은 물가상승률이 5개월째 3%대를 기록하면서 물가안정목표(2%)를 상회하고 있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도 시작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해 '동결'을 기정사실화하고 있었다. 

그간 동결이 지속 단행됐고, 태영건설발 부동산 PF 위기 우려 등으로 인해 인상 가능성은 사라진 만큼 연준이 금리 인하를 시작하면 한은도 인하를 타진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금리 인하와 관련해 '물가가 2%대로 수렴하는 확신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시장에 꾸준히 내보내고 있다. 

경기 부양 및 부동산PF 관리를 위해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현재 한미 금리 역전폭이 역대 최대인 2.0%포인트까지 벌어져 있는 만큼 한은이 연준보다 먼저 내리는 것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원달러 환율도 최근 1300원대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높은 물가와 더불어 증가세인 가계부채도 인하에 있어 걸림돌이다. 다만 금융당국은 최근 가계부채 흐름을 '안정적'이라고 판단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전체 금융권의 가계부채는 총 10조1000억원 늘었다. 전년(-8조8000억원) 감소에서 1년 만에 증가 전환했으나 증가율은 0.6%에 그쳤다.

특히 한은이 예의주시하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21년 말 105.4%를 정점으로 낮아지는 추세다. 작년 말에는 100.8%까지 하락했다. 정부는 2027년까지 100% 아래로 낮춰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지난해 11월 기자간담회에서 가계부채 증가 관련 질문에 "절대액이 늘어나지 않게 하는 정책을 하면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오히려 금융 불안이 발생해 부채가 늘어나고, 금융시장도 어렵게 된다"며 "장기적으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다음 금통위는 2월 22일로 예정돼 있다. 올해 첫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는 우리시간으로 내달 1일 새벽에 나온다. 현재까지는 FOMC에서 금리 동결이 유력한 만큼 2월 금통위에서도 통화정책 기조의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