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8.27 11:09
임시주총 참석 주주 85.75% 찬성…원안대로 승인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 적극 검토할 것”

[뉴스웍스=정민서 기자]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안이 임시 주주총회를 통과하면서 자산 100조원, 매출 88조원의 초대형 에너지 기업이 탄생하게 됐다.
SK이노베이션은 27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합병계약 체결 승인을 위한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한 결과, 참석 주주 85.75%의 찬성률로 합병안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SK E&S도 이날 주주총회를 열고 양사 합병안을 승인했다.
합병은 주주총회 특별 결의 사항으로 참석 주주 3분의 2 이상과 발행 주식 수 3분의 1 이상이 찬성해야 승인된다. SK이노베이션의 지분율은 6월 말 기준 SK㈜ 36.2%, 국민연금 6.2% 등이다.
2대 주주인 국민연금이 주주가치 훼손 우려가 있다며 양사의 합병에 반대표를 던졌지만, 최대 주주인 SK㈜를 비롯한 대다수 주주가 찬성하며 합병안이 통과됐다.
SK이노베이션 측은 세계 최대의 의결권 자문기관인 ISS와 글래스루이스가 이번 합병안 찬성을 권고함에 따라 참석한 외국인 주주들의 95%가 이번 합병안에 찬성했다고 강조했다.
이날 임시주총에서 합병이 승인됨에 따라 합병법인은 오는 11월 1일 공식 출범한다. 합병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양사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합병법인을 사내독립기업(CIC) 형태로 운영한다.
앞서 SK이노베이션과 SK E&S는 지난달 17일 각각 이사회를 열어 양사 간 합병안을 의결했다. 최대 관심사였던 양사의 합병 비율은 1대 1.1917417로 정해졌다.
SK이노베이션이 SK E&S를 흡수 합병하면서 자산 100조원, 매출 88조원의 아시아·태평양지역 최대 규모의 민간 에너지 기업이 탄생하게 됐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민간 에너지 기업 2위에서 일본 에네오스 홀딩스(95조원)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서게 된다.

SK E&S가 지난해 매출 11조1671억원, 영업이익 1조3317억원을 기록한 '캐시카우'이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SK이노베이션의 영업이익은 1조939억원이었다.
반면, SK온은 2021년 출범 후 10개 분기 연속 적자로 누적 적자액이 2조6000억원에 달한다. 배터리는 산업 특성상 생산라인 설립 비용이 크기 때문이다. 올해까지 3년간 SK온 투자한 시설투자 비용만 20조원에 달한다.
합병을 통해 얻게 될 SK E&S의 안정적인 현금 창출 능력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 실적 부진을 겪는 SK온의 재무구조 개선에 활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SK이노베이션은 합병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만 2030년 기준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2조2000억원 이상을 예상하며, 전체 EBITDA는 20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상규 SK이노베이션 사장은 "회사의 장기적인 안정과 성장의 토대가 될 이번 합병이 순조롭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할 예정"이라며 "더불어 합병 완료 이후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을 적극 검토해 실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이노-SK E&S 합병, 통과 가능성 우세…주식매수청구권 '변수'
- 국민연금 'SK이노베이션-SK E&S' 합병 반대…주총 변수 될까
- SK이노, SK E&S 합병 사이트 가동…"주주 소통 강화"
- 박상규 SK이노 사장 "시너지TF 구성…내년 SK온 자금 부담 줄 것"
- [종합] SK 리밸런싱 본격화…이노·E&S 합쳐 SK온 적자고리 끊어내나
- [특징주] SK이노베이션, SK E&S와 합병 통과 소식에 3%↑
- SK이노-E&S 합병 순항 예고…주식매수청구권 3300억 수준 그쳐
- SK온 1조 유상증자 결정…"재무구조 개선"
- SK이노 합병법인 공식 출범…'105조 에너지 기업' 탄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