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2.04 17:24
김해국제공항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현장 (사진제공=뉴스1)
김해국제공항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현장 (사진제공=뉴스1)

[뉴스웍스/세종=정승양 대기자] 한달 간격으로 제주항공 참사와 에어부산 대형화재를 겪은 정부가 항공안전체계 전반을 둘러보고 개선안을 도출하기 위해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항공안전혁신위원회를 구성,  4월 중 혁신안을 내놓는다.

국토교통부는 4일 서울에서 항공·공항 분야 민간 전문가와 ‘항공안전혁신위원회’의 첫 기획(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오는 4월까지 약 10주간 운영되는 위원회는 조종·정비·객실 등 전문가로 구성된 '항공운항 안전 분과'와 항공교통·조류·건설 등 전문가가 참여하는 '공항시설 개선 분과'로 나눠 활동할 계획이다. 1차로 항공 안전과 공항 분야 등 민간 전문가 20명을 초빙한 국토부는 논의 과정에서 필요할 경우 관련 전문가를 추가 임명하기로 했다. 

위원회는 향후 운항 인허가 시 안전성을 검토하고 항공안전투자 공시제도를 내실화하는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수습 과정에서 지적된 LCC(저비용항공사)의 정비 역량 제고와 높은 항공기 가동률 관리, 공항 건설·운영 규정 간 불일치 해소 문제 등을 심도있게 다룰 예정이다.

무안공항에서 사고를 키운 것으로 지목됐던 콘크리트 둔덕 등 공항 건설·운영규정도 재검토한다. 

위원회는 현장점검과 해외사례 분석 등을 토대로 다음 달 말까지 개선안을 마련하고, 4월 초 공청회 의견 수렴을 거쳐 ‘항공안전 혁신대책’을 최종적으로 확정할 예정이라고 국토부는 덧붙였다.

국토부는 이와함께 에어부산 화재 사고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보조 배터리의 반입 규정을 강화해 강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예컨대 보조 배터리를 지퍼형 비닐팩에 넣어 비행기에 올라타는 방안도 거론된다. 승객이 보조 배터리를 투명한 지퍼형 비닐팩에 넣은 뒤 탑승하면 승무원이나 승객이 육안으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관리가 수월해진다.

기내에서 보조 배터리 충전기 사용을 제한하거나 보조 배터리 단자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