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명수 기자
  • 입력 2025.03.11 12:54
우크라이나군 소속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SPRABDI)가 엑스를 통해 공개한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군인들. (출처=SPRAVDI 엑스)
우크라이나군 소속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SPRABDI)가 엑스를 통해 공개한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군인들. (출처=SPRAVDI 엑스)

[뉴스웍스=박명수 기자]  쿠르스크 전선에서 벌어지고 있는 러시아군의 진격에 북한군이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우크라이나가 확인했다.

10일(현지시간)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NK뉴스는 우크라이나 정부를 인용해 러시아의 쿠르스크 진격에 동참한 북한군의 목표가 물류 공급을 차단하고 우크라이나 군인들을 고립시키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안드리 코발렌코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방위원회 산하 허위정보대응센터장은 전날 "수미와 쿠르스크 지역에서의 상황이 어렵다"라며 "북한군이 줄을 지어 본격적으로 진격하고 있으며, 실제로 들판을 가로질러 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군 진지에 가진 모든 것을 쏟아붓고 있다"라며 "국경에서 소규모 접전을 벌이거나 물류 경로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있다"라고 부연했다.

이 언급은 러시아군과 북한군이 쿠르스크 지역에 공세를 강화하면서 우크라이나군이 수세에 몰렸다는 보도 이후 나왔다.

러시아군은 지난해 우크라이나에 빼앗긴 쿠르스크 내 영토를 되찾기 위해 최근 반격의 속도를 냈다. 이는 종전협상을 앞두고 우크라이나가 보유한 최대 협상카드인 러시아 내 점령지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된다.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군을 고립시키기 위해 상당수의 북한군을 투입시켰고, 드론을 이용해 우크라이나군의 보급망을 방해하는 작전을 펴는 것으로 알려졌다.

약 1만2000명으로 추정되는 러시아 파병 북한군은 작년 말에 우크라이나군 상대 전투에 투입됐으며, 올해 1월 잠시 철수했다가 재편성된 후 2월 초께 다시 투입됐다.

이날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우크라이나 총사령관도 러시아의 쿠르스크 반격에 북한군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시르스키 총사령관은 이날 소셜미디어에 올린 성명에서 "상당한 규모의 러시아 부대가 북한 보병 지원을 받아 공세에 나섰는데도 병력과 장비에서 상당한 손실을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