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04.11 11:20

"수출 대기업에도 2조 공급…관세행정 강화"

최상목 부총리가 지난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최상목 부총리가 지난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정부가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수출 위기 대응 지원을 위해 9조원 정책자금을 추가 공급하기로 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해 "미국이 어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했지만 기본관세와 자동차 등 품목관세는 부과되고 있어 여전히 긴장의 끈을 놓을 수는 없다"며 "눈앞에 놓인 대미 관세협의의 현안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면서도 중장기적으로 산업경쟁력을 강화하는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특히 "미국 신정부 통상정책 변화에 따른 수출 위기 대응 등 지원을 위해 연 9조원의 수은 정책자금을 추가로 공급하겠다"며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을 신설해 중소·중견기업에 3조원을 공급하고 금리도 최대 2%포인트까지 인하해 적용하며, 수출 대기업에도 2조원의 추가자금을 공급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국내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중견기업의 상생지원을 위한 정책자금도 3조원을 공급하고, 금리를 우대할 것"이라며 "1조원 규모의 '수출 다변화 금융프로그램'을 신설해 수출 대상지역과 품목 다변화도 지원하고, 국내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1조원 규모의 '공급망 안정화 펀드' 조성도 상반기 중에 마무리하겠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관세행정을 강화해 수출기업의 현장애로 해결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최 부총리는 "수출기업에 긴요한 정보를 신속히 입수해 제공하고, 특히 수출 물품의 미국 품목번호 정보 제공을 강화할 것"이라며 "관세상담센터를 통해 기업의 수출을 지원하고 대미 수출품 품목분류에 대한 사전심사 패스트트랙을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제3국 물품의 우회 수출국으로 오인돼 더 큰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미국으로 선적 전 수출검사를 강화해 원산지 위반 물품을 적극 차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올해 1분기까지 양호한 실적을 거둔 해외수주가 올해 목표치인 500억달러를 달성할 수 있도록 주요 프로젝트를 지속 점검·관리하고 수주시장 다변화 등에도 더욱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경제협력과 연계해 수주를 촉진하고 지역별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는 등 글로벌 사우스를 적극 공략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