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다혜 기자
  • 입력 2024.02.18 15:56
한덕수 국무총리가 지난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무조정실)
한덕수 국무총리가 지난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무조정실)

[뉴스웍스=김다혜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는 의료계 집단행동과 관련해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볼모로 삼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18일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 서울청사에 열린 '의사 집단행동 관련 대국민 담화'에서 "의료 공백이 벌어지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가게 된다"며 집단 행동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의료계를 향해 자제할 것을 요청했다.

한 총리는 "필수 의료와 지역 의료를 살리기 위한 의료 개혁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의대 정원 확대는 더 늦출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절대적인 의사 수가 확보되지 않는다면 의료 개혁은 절대 성공할 수 없다"며 "오히려 의약분업 이후 정원을 감축해 2006년부터 지난 19년간 감소한 상태로 유지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늘어나는 고령인구와 높아지는 의료수요에 비해 지금의 의대 정원은 턱없이 부족하다"며 "지금, 이 상태가 지속된다면 2035년에는 의사 1만5000명이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 불과 10년 안쪽에 닥쳐올 현실"이라고 우려했다.

한 총리는 "전문의를 배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한다면 의대 정원 확대는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다"며 "환자들과 고령화하고 있는 게 아니라 의사들 역시 빠르게 고령화하고 있어 더욱 그렇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료 개혁과 관련해 정부는 언제든지 대화하고 소통할 준비가 돼 있다"며 "집단행동이 아닌 합리적인 토론과 대화를 통해 이견을 좁혀 나가야 한다고 간곡히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