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24.12.06 01:07

비상계엄 당시 국회보다 먼저 진입
4·10 총선 선관위 개입 의혹 수사

김용현 국방부 장관이 11월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스1)
김용현 국방부 장관이 11월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비상계엄이 선포된 3일 밤 계엄군이 국회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먼저 진입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4월 총선 직후 제기된 '부정선거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긴급하게 투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5일 SBS 보도에 따르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선관위에 계엄군을 투입한 이유를 "선관위 부정선거 의혹 관련 수사의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해"라고 밝혔다.

당시 계엄군은 10시 30분쯤 10명이 경기도 과천 중앙선관위에 들어가 야간 당직자 등 5명의 휴대전화를 압수했다. 계엄을 선포한지(10시 23분) 10분도 안돼 투입된 것이다.

이후 추가 투입된 100여명은 1층 로비 등에서 경계작전만 실시했다.

선관위는 과청 청사와 관악청사, 수원 선거연수원 등에 투입된 계엄군 병력이 총 297명으로 국회에 투입된 병력 280여명 보다 많은 규모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김용빈 선관위 사무총장은 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비상계엄 긴급 현안질의에서 "계엄군이 왜 선관위에 진입했는지 이유를 모르겠다. 선관위는 계엄법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계엄이 이뤄져도 업무를 이관해야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선관위는 선거관리와 정당, 정치자금 관련 사무를 담당하기 때문에 국회와 정부, 법원, 헌법재판소와 같은 지위를 갖는 독립된 헌법기관이라는 입장이다.

그는 계엄 당시 선관위에서 반출된 물품이 있었는지에 대해 "없었다. 전산 로그 기록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명태균 관련 여론조사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냐'는 야당 의원 주장에 대해 김 총장은 "명태균 관련 '로데이터' 등의 자료는 전혀 없다"며 "여론조사심의위원회도 과천이 아닌 사당 청사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국회 국방위 오전 현안질의에서 박안수 전 계엄사령관은 "꼭 집어 선관위를 특별 조치한 이유가 무엇이냐"는 민주당 안규백 의원의 질의에 "그것은 제가 모르는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일련의 사안을 볼때 계엄군의 선관위 진입은 김 전 장관의 언급처럼 지난 4·10 총선 이후 일부 보수단체들을 중심으로 제기된 부정선거 음모론을 파악하기 위해서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윤 대통령과 처음 만났을 때 '인천지검 애들을 보내 선관위를 싹 털려고 했는데 못하고 나왔다'고 했다"며 "대통령이 부정선거쟁이들의 수괴가 돼 환호 받아보려다가 친위 쿠데타를 일으키고 그것으로 탄핵당하면 깔끔하게 부정선거쟁이들이 보수진영 절단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새로운 사실이 드러나면서 앞으로 계엄군이 선관위를 진입한 목적과 선거 관련 데이터를 확보했는지에 대한 확인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