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2.05 22:18
중국 딥시크의 로고(사진제공=뉴스1)
중국 딥시크의 로고(사진제공=뉴스1)

[뉴스웍스/세종=정승양 대기자] 이용자 데이터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의심을 받아온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에 대해 외교, 통상 분야 정부부처들이 접속차단에 나서고 있다. 

5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외교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자체 판단에 따라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부처들의 딥시크 접속 제한 조치는 민감한 정보들이 중국으로 유출될 우려 때문이다.

두 부처는 공통으로 외교·통상 분야의 민감한 기밀정보를 많이 취급하는 곳들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업부 업무망에서 사용할 수 없도록 차단했다”며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조치가 강화돼 안전성이 확인되면, 접근을 허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차원의 이 같은 차단조치는 더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행정안전부는 전날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다만 해당 공문에는 딥시크만을 특정해 사용을 제한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기지는 않았다. 행안부는 "(공문에는) 챗GPT와 딥시크 등 생성형 AI를 업무 현장에서 사용할 때 유의해달라는 내용을 담았다"고 전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중국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 및 보관 방법 등의 확인을 요청하는 질의서를 발송한 바 있다. 딥시크 본사는 아직 개인정보위에 회신하지 않았다.

민간 영역에서도 딥시크 사용 금지 사례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오픈AI와의 공식 파트너십을 발표한 카카오는 최근 "딥시크의 사내 업무 목적 이용을 금지한다"고 사내에 공지했다. LG유플러스도 이날 딥시크를 업무용으로 활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딥시크의 보안 안정성이 확인될 때까지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직원 개인 PC를 이용해서도 딥시크 사용을 자제하는 편이 좋다고 권고하는 내용의 사내 정보보안 안내문을 공지했다. 

삼성전자와 SK, LG전자 등 주요 기업들은 내부적으로 생성형 AI를 자체 개발해 활용 중인 데다 사내 PC에서 허가되지 않은 외부 프로그램 사용이 금지돼 있다.

원전 기술을 다루는 한국수력원자력도 지난 1일 사내 업무망에 '중국 AI 서비스 딥시크 사용 금지'라는 제목의 공문을 게시했다. 한수원은 기존에도 원전 관련 보안을 위해 챗GPT를 업무 용도로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해왔다.

이 같은 정부차원의 딥시크 경계령은 세계적이다. 호주, 일본, 대만, 미국 텍사스주 등은 정부 소유 기기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고 이탈리아는 아예 앱 마켓에서 전면 차단했다. 영국과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도 딥시크의 위험성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