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05.16 14:10

각 캠프에 "학생 고통 외면 말고 새정부 최우선 해결과제로 삼아달라"

지난 6일 오후 서울의 한 의과대학 앞으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뉴스1)
지난 6일 오후 서울의 한 의과대학 앞으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대한의사협회는 16일 "의대생의 이유 있는 수업거부에 대해 교육부가 유급 및 제적 통보로 겁박하면서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는 것에 심각한 유감을 표한다"며 제적·유급 조치의 즉각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의협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대학들마다 다른 학칙과 재량권이 있고 학사 유연화 방안을 재검토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부는 이를 무시하고 임의로 정한 기준을 강압적으로 적용하려 한다. 지금은 현 정부 임기가 조기 종료되는 시점인데도 학생들에 대한 겁박과 강요를 멈추지 않는 폭압적 방식이 여전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국 40개 의과대학이 지난 7일 교육부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의대생 1만9475명 가운데 유급 예정 인원은 8305명(42.6%), 제적 예정 인원은 46명(0.2%)으로 집계됐다. 이들에 대해서는 대학별로 학칙에 따른 소명절차 등을 거쳐 원칙대로 처리하기로 했다.

의협은 "각 대학 총장, 학장들이 교육부로부터 압박을 심하게 받고 있다"며 "교육부 방침을 이행하는지 감시하고 구제하지 않겠다, 정부 지원을 끊겠다고 겁박하니 교육현장을 책임지는 분들 입장은 매우 곤혹스러울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수업 공간조차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정상적인 의대 교육이 불가능한 상황인데도 무조건 수업하라는 교육부의 강요를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겠느냐"며 "학생들과 교육자들에게는 불의한 것을 거부할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24·25·26학번 동시 교육(트리플링) 우려에 대해 '정상 수업'이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의대교수들조차 "의대생의 휴학 등이 없었다 해도 2~3배로 과도하게 증원된 대학들에서는 제대로 교육할 여건이 안 된다"고 토로하고 있다.

의협은 정부를 향해 "절차적 정당성이 전혀 없는 부당한 제적 및 유급 조치를 당장 철회하라"며 "그간 의협이 줄기차게 요구했듯이 정상적인 교육여건 조성과 구체적 실행계획을 내놓고 현 정부 임기를 마무리하라"고 주문했다.

각 대선 후보캠프에는 "의대생들이 원하는 것은 부실교육이 아닌 양질의 교육, 정상적인 교육을 받고 좋은 의사가 되는 것"이라며 "학생들의 고통을 외면하지 말고 합리적인 해결책을 모색해달라. 새 정부가 최우선으로 해결할 과제로 삼아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