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6.20 12:00

[뉴스웍스=박광하 기자] 정부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할 국내 정예팀 공모에 나선다. 글로벌 AI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이 사업은 최대 5개 팀을 선발해 단계적으로 압축하며, GPU·데이터·인재 등 자원을 종합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함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 컨소시엄 공모를 7월 21일까지 실시한다고 20일 발표했다.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는 정부가 '월드 베스트 LLM(World Best LLM) 프로젝트'로 추진해 온 계획의 정식 명칭이다. 글로벌 수준의 인공지능 기반(AI 파운데이선) 모델을 국내 기술로 개발해 AI 패권 경쟁에 대응하고 AI 생태계 전반의 전환을 이끄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는 '국가 AI 역량 강화방안'을 통해 민관 협력 기반의 독자 LLM 개발 방향을 제시해 왔으며, 이번 공모를 통해 최대 5개 정예팀을 선발해 단계별 압축 방식으로 본격적인 경쟁 체제에 돌입한다.
공모 대상은 국내 AI 기업·기관 중심의 컨소시엄이며, 대학(원)생 참여가 필수다. 참여팀은 최근 6개월 이내 출시된 글로벌 대규모 언어모델(LLM)과 비교해 95% 이상의 성능을 목표로 하되, 구체적인 개발 전략과 방법론은 자율적으로 구현하는 'DARPA형' 방식으로 운영된다.
정부는 각 팀이 필요로 하는 GPU, 데이터, 인재 등 자원을 자유롭게 제시하도록 하고, 단계별 평가에 따라 자원을 조정·지원할 방침이다. GPU의 경우 올해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민간 GPU 임대를 통해 우선 지원하고(1차 추경 1576억원), 이후 정부가 직접 구매한 첨단 GPU 1만장을 활용해 팀당 최대 1000장 이상을 지원한다.
데이터는 팀당 연간 100억원 규모의 저작물 공동구매, 연 30~50억원 규모의 데이터 구축·가공 예산이 지원된다. 인재 확보 측면에서는 해외 연구자 유치 시 정부가 인건비와 연구비 등을 매칭해 연 20억원 수준으로 지속 지원한다.
선정된 정예팀은 국민 AI 접근성 제고, 공공·경제·사회 분야 AI 전환 계획도 함께 제시해야 하며, 이는 평가에 반영된다. 오픈소스 수준에 따라 정부 매칭 비율도 차등화해 개방형 생태계 확산을 유도할 계획이다.
정예팀 선발은 AI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진행되며, 12월부터는 6개월 단위의 단계 평가가 이뤄진다. 평가는 컨테스트 기반 대중·전문가 참여 평가, 성능·안전성 검증, 파생 모델 수 기반 평가 등으로 다면적으로 진행된다.
정부는 이와 함께 AI 안전연구소와 협력해 개발 모델의 안전성 검증을 강화하고, 'K-AI 모델', 'K-AI 기업' 명칭 사용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도 지원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