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진형 기자
  • 입력 2025.06.23 11:14
(자료제공=청년재단)
(자료제공=청년재단)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청년들이 정부 정책이나 지원사업을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청년재단이 발 벗고 나섰다.

청년재단 중앙청년지원센터는 전국 11개 지역청년지원센터와 함께 ‘청년정책 진입상담’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청년정책 진입상담은 청년 개개인의 상황과 요구에 맞는 정책이나 지원사업을 맞춤형으로 연결해주는 상담 서비스다. 각 지역청년지원센터의 청년지원매니저가 1대 1 상담을 통해 청년정책 플랫폼 '온통청년'과 중앙청년지원센터가 구축한 3600여 개 청년지원기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정책을 연계하고, 정책 참여까지 이어지도록 돕는다.

올해는 부산·인천·광주·세종·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 등 총 11개 지역청년지원센터가 참여하며, 총 1000명의 청년을 대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정책 진입상담을 희망하는 청년은 중앙청년지원센터 홈페이지 내 청년정책 진입상담 플랫폼을 통해 ▲진로·취업 ▲창업 ▲주거 ▲경제·금융 ▲생활·복지 등 정책 연계가 필요한 분야를 선택하고, 현재 상황과 궁금한 점을 적어 신청할 수 있다.

신청서를 바탕으로 해당 청년은 청년지원매니저와 매칭돼, 대면 또는 온라인 화상 상담 방식으로 총 2회(회당 40분)에 걸쳐 상담을 진행한다. 이후 실제 정책 연계가 이뤄지면, 정책지원금으로 지역화폐 10만원이 지급된다.

임대환 중앙청년지원센터장은 "최근 청년들은 단순한 일자리나 주거 문제를 넘어 고립, 가족 돌봄, 금융 취약 등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에 따라 정밀한 정책 연계가 가능한 맞춤형 상담 서비스를 기획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청년들은 정책에 대한 수요는 많지만, 어디서 무엇을 찾아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번 상담 서비스는 실질적인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많은 청년이 자신에게 꼭 맞는 정책과 지원을 놓치지 않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박주희 청년재단 사무총장은 "청년정책 진입상담 서비스가 자립과 독립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미래를 설계하고 사회에 안착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청년센터가 청년과 정책을 잇는 든든한 통로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청년정책 종합상담), 대구(청년상담소), 제주(청년이어드림) 등에서는 지역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자체 상담 및 자원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청년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청년정책과 다양한 지원사업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