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9.10 11:14
정부 예산 반영으로 실시설계 착수…2026년 후보지 확정 눈앞
안전·환경 리스크 해소와 도시재생 효과, 주민 수용성 관건

[뉴스웍스=우수한 기자] 광주 서구 마륵동 탄약고 이전 사업이 20여 년 지연 끝에 재개됐다. 정부 예산이 반영되면서 본격 추진되는 이번 사업은 안전 확보와 도시재생이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
8일 국방부와 광주시에 따르면, 마륵동 탄약고 이전 및 부지 활용 사업은 총 3262억원 규모다. 국방부가 주관하고 광주시와 화순·장성군이 협력하며, 기본·실시설계비 15억원이 내년 정부예산안에 반영됐다. 2025년 말 환경영향평가와 주민공청회를 거쳐 2026년 6월 최종 후보지가 확정될 예정이다.
국방부 안전진단 결과, 현 탄약고는 노후화로 화재·폭발 위험이 높아 위험등급 'D' 판정을 받았다. 평균 75dB의 저주파 소음이 인근 학교와 보육시설 3곳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지하수 오염 가능성과 탄약 잔류물 검출 우려도 지적됐다. 이에 따라 주민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광주시는 이전 부지 30만㎡에 1200세대 주택과 8만㎡ 규모 공원을 조성해 도시재생을 추진할 계획이다. 광주연구원 연구보고서는 수원 화서역 사례를 참고해 유사 규모 도시재생 시 1조원 이상의 경제 유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후보지 농민의 68%는 보상과 대책 부족을 지적했으며, 농지 대체 지원비 및 이주 보상금 최대 5000만원과 커뮤니티센터 제공 등이 지원책으로 제시됐다.
화순·장성군은 환경영향평가 협조와 주민 의견 수렴을 담당한다. 전문가 자문단은 환경·안전·도시·교통·사회 분야 전문가 15명으로 구성돼 분기별 보고서를 제출한다. 수원 화서역 이전과 대구 성서산단 이전 사례에서 주민 거버넌스 참여가 찬성률을 95%까지 높였던 점은 이번 사업에도 참고가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안전 확보와 도시 경쟁력 강화라는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주민 수용성과 보상 체계의 미비가 갈등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지역 한 도시계획 전문가는 "복합용도 개발과 녹지 확대는 광역도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다"며 "지하수·토양 모니터링을 통한 오염 방지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다른 지역 도시계획 관계자는 "보상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사업 추진 과정에서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안형주 서구의원은 "광주 도심이 확장되면서 탄약고 주변 지역은 대규모 택지 개발과 도시철도 경유 등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49년간 군사시설 보호구역 지정으로 지역 발전이 가로막히고 주민 재산권이 침해돼 왔다"며 "탄약고 이전사업의 재개가 지역민의 오랜 한을 풀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마륵동 탄약고 이전은 주민 안전과 도시 성장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며 "보상 체계의 정비와 주민 신뢰 구축, 그리고 거버넌스 실효성이 사업 성패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