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11.25 10:17

김민석 총리 "초미세먼지 농도 목표 19㎍/㎥ 달성 총력"

김민석 국무총리가 지난 20일 경기도 여주시 구양리 마을 태양광 발전소를 방문해 발전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제공=국무조정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지난 20일 경기도 여주시 구양리 마을 태양광 발전소를 방문해 발전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제공=국무조정실)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가 계절관리제 기간 초미세먼지 농도 목표 19㎍/㎥ 달성 위해 범부처 총력 대응을 당부했다. 계절관리제는 12~3월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에 맞춰 강화된 저감 대책을 펼치는 제도다.

김 총리는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7차 미세먼지특별대책위원회를 주재해 다가올 겨울철과 봄철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에 대응하기 위한 '제7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계획'을 최종 확정했다. 

제7차 계절관리제의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서풍의 유입, 대기 정체, 난방 연료 사용 증가 등으로 미세먼지가 높아지는 겨울철과 봄철을 대비해 현장 중심의 실행력을 높인 핵심 배출원 감축 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 또 기술지원을 통한 민간의 자율적 감축을 유도하고, 국민 생활 주변 미세먼지 관리를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초미세먼지와 그 생성물질을 지난해보다 2% 추가로 줄인 약 12만9000톤으로 감축해 초미세먼지 평균농도를 6차 대비 5%(20㎍/㎥) 개선된 19㎍/㎥로 목표를 설정했다.

핵심 배출원 감축·관리를 위해 전년 대비 더욱 확대한 최대 17기 석탄발전소를 가동정지하고, 최대 46기에 대해서는 출력을 80%로 제한하는 상한제약을 추진하는 등 직접적인 배출원을 줄이는 것과 동시에 불법배출 의심 사업장에 대해서는 첨단장비와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해 실시간 원격 감시를 실시할 예정이다.

국민 생활주변 미세먼지 관리를 위해 국민들이 오래 머무르는 대형마트, 도서관, 박물관과 같은 대표적인 다중이용시설에 대해서는 실내공기질 기준을 50㎍/㎥에서 40㎍/㎥로 20% 강화하고, 농촌 지역에 대해서는 영농폐기물 수거기간 확대, 수거품목 확대를 통해 불법소각을 방지할 예정이다.

김 총리는 "맑은 하늘과 깨끗한 공기질은 이제 국민 건강뿐 아니라, 산업과 관광 같은 국가경쟁력의 원천이 되고 있다"며 "맑고 청량한 하늘 자체로도 발전에 도움이 되고, 우리나라 이미지를 더욱 좋게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정부와 국민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고농도시기 미세먼지 농도가 크게 개선됐으나 올해 겨울철 기상전망에 따르면 전년보다 고농도 미세먼지에 불리할 수 있다"며 "계절관리제 기간 초미세먼지 농도 목표인 19㎍/㎥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