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5.09 17:30
정치권도 '라인사태' 주목…윤상현 "정부가 적극 나서 국내기업 보호해야"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소프트뱅크가 일본 정부의 '네이버와 자본 관계 재검토' 행정 지도와 관련해 네이버와 협의 중이라고 9일 발표했다.
미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결산설명회에서 "라인야후 측이 네이버와 업무위탁 관계를 순차적으로 종료하기로 전날 발표했다"며 "라인야후의 요청에 따라 보안 거버넌스와 사업전략 관점에서 자본 재검토를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미야카와 CEO는 "협의 중인 현시점에서는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앞으로 보고할 일이 생기면 신속하게 공개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네이버와의 협상 타결 목표 시점은 7월 초로 잡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라인야후 지분 조정은 장기적인 성장전망 아래 바라보고 있다"며 "만약 100%의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면 더 다양한 전략이 가능해지고 더 많은 선택지가 생긴다"고 덧붙였다.
라인은 2011년 당시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 'NHN 재팬'이 개발한 메신저다. 일본에선 이용자가 9600만명에 달할 정도로 '국민 메신저'로 통한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네이버 클라우드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개인정보 유출 사건을 빌미로 라인야후에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 재검토를 요구했다. 라인야후는 네이버에 지분 매각을 요청하면서 라인에서의 '네이버 지우기'를 본격화했다. 소프트뱅크와 네이버는 라인야후 모회사인 A홀딩스 주식을 50%씩 보유하고 있다. 단 한 주만 팔아도 경영권을 잃게 된다.
이날 정치권에서도 일본 정부의 네이버 라인 지분 강탈 시도가 이슈로 떠올랐다. 야당은 일제히 정부의 강력한 대응을 요구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정부를 향해 "반드시 일본의 '라인 침탈'을 막고 한국의 기술을 지켜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종면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일본에 한마디 항변도 못하는 참담한 외교를 언제까지 지켜봐야 하나"라며 이같이 밝혔다.
허은아 개혁신당 수석대변인도 이날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친윤·비선 라인 말고 네이버 라인부터 챙기라"고 요구하며 윤 대통령이 이날 오전 진행된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일본 정부의 네이버 압박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밝히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국회의원 당선자는 윤 대통령을 향해 "아직도 일본에 퍼줄 것이 남아있는가"라며 "일본에서 성장한 우리나라 기업이 일본에 넘어가게 생겼다"고 라인 사태를 꼬집었다. 조국혁신당은 "5월 13일 조국, 독도에 간다. 독도는 우리 땅이다. 윤석열 정권의 대일 굴욕 외교를 심판하겠다"고 밝혔다.
여당 의원들도 가세했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일본 정부가 네이버를 라인 경영에서 배제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우리 정부가 해외 진출 국내 기업을 보호하고, 한일관계에 미칠 파장을 조기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라인야후 사태를 더 이상 방관해선 안 된다"며 "네이버의 입장과 판단만 기다릴 것이 아니다"라며 정부의 조속한 대응을 재차 당부했다.
시민단체도 거들었다. IT시민연대는 이날 "일본 정부는 네이버의 라인 지분매각 행정지도 조치를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위정현 IT시민연대 준비위원장은 "이번 사태를 묵과한다면 향후 한국 기업이 서비스하는 모든 국가에서 동일한 요구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 정부는 심각한 위기의식 하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