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4.06.27 10:59

세브란스 '무기한 휴진' 시작…환자단체, 내달 4일 보신각서 집회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27일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활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행정안전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27일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활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행정안전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예정대로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시작했고, 서울아산병원 교수들도 내달 4일부터 휴진을 시작할 예정인 가운데 정부는 "의료현장의 혼란을 정상화하고 갈등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무기한 휴진이 아니라 대화"라며 휴진 철회를 촉구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해 "서울대병원은 무기한 휴진을 중단했고, 서울성모병원과 삼성서울병원도 예고했던 휴진을 유예했다. 의사로서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최우선에 두고 내린 올바른 결정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지난 17일 서울 주요 '빅5' 병원 중 가장 먼저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던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일주일 가량 휴진 후 진료에 복귀했다. 또 서울성모병원 등이 속한 가톨릭대 의대 교수들과 삼성서울병원 등이 속한 성균관대 의대 교수들도 지난 25일 무기한 휴진을 유예키로 결정했다.

집단 휴진이 속속 철회되고 있으나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은 전날 "기한이 없는 휴진을 현재의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 결정했다"며 예정된 휴진을 감행했다. 

이 장관은 의료계에 대화를 재차 요청했다. 이 장관은 "대화하겠다는 정부 입장은 변함이 없지만 안타까운 점은 아직도 의료계 일부에서 일방적으로 사실이 아닌 주장을 펼치면서 대화를 거부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일부 의료계 인사들은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저렴하게 자주 이용할 수 있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면서 이번 의료개혁이 오히려 의료를 퇴보시킬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오픈런이 일상용어가 된 상황에서 우리 의료체계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것은 누구보다도 의사들이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수술할 의사가 없거나 응급실을 찾지 못하는 환자가 없도록 하기 위해 필수의료와 지역의료를 살리는 의료개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유연하게, 충실하게, 원칙을 지키면서 의료 전반에 대한 개혁과제를 실행하고, 조속한 의료 정상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92개 환자단체는 내달 4일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방지법 제정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개최한다.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와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는 이날 "서울의대에 이어 가톨릭대 의대 교수들과 성균관대 의대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유예하기로 결정하면서 집단휴진 국면이 다소 진정되고 있지만, 세브란스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의 휴진 예고는 아직 철회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전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열린 '의대 정원 확대로 촉발된 의정갈등 관련 의료계 비상상황 청문회'에서도 정부와 의료계의 입장 차는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의료공백 정상화에 대한 기대와 실망이 반복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태 해결을 위한 협의는 커녕 환자의 불안과 피해를 도구 삼아 서로를 비난하기만 하는 갈등 양상에 환자단체들은 더는 인내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집회에서 환자단체들은 응급실·중환자실 등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만큼은 의료인이 어떠한 집단행동을 하더라도 정상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재발방지법을 신속히 만들어 달라고 국회에 강력하게 요구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