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7.31 18:31
"국회 '의대증원 국정조사 요청에 관한 청원' 처리해 달라"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대한의사협회는 31일 "하반기 전공의 모집이 종료됐지만, 예상대로 지원율이 극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정부의 갈라치기 술책과 행정명령 철회, 수련 특혜 등 당근책은 전공의들에게 통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하반기 전공의 모집이 이날 오후 종료됐다.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인원은 7645명에 달했지만, 대다수 수련병원에서 지원한 전공의가 0명을 기록하는 등 사실상 전공의들이 복귀를 선택하지 않았다.
의협은 "의료계가 누차 주장했듯이 전공의와 의대생의 요구사항을 수용하지 않는 이상 정부가 그 어떤 대책을 내놓는다 해도 실패의 연속일 수밖에 없다"며 "그 사실을 아둔한 정부만 모르는 듯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의 구조전환으로 의료전달체계를 개선하겠다고 했는데, 현재 전국에 남은 흉부외과 전공의가 12명이고 내년도 신규 전문의가 6명인 처참한 상황에서 전문의 중심병원으로 의료개혁을 완수하겠다는 것은 허울뿐인 말잔치"라며 "심화하는 필수의료 지역의료 공백은 어떻게 메울 것인지도 의문"이라고 되물었다.
또 "정부는 대화의 기회가 열려있다면서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 참여하라고 했다"며 "의개특위는 의정 대치를 초래한 정부 직속 위원회인 만큼, 의협은 편향된 협의체에는 참여할 의사가 없다고 했지만 정부는 의료계가 없는 의개특위를 강행했고, 의료계 의견을 적극 경청할 준비가 돼 있는 척 국민을 호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의협은 "정부는 의료계와 대화한다면서 노골적 겁박을 시도한 게 한두 번이 아니다"라며 "최근까지도 의협 지도부 소환조사, 의료계 단체행동에 대한 보복성 수사 등을 계속했다. 복귀 전공의 블랙리스트를 잡는다고 으름장을 놓고, 수련 보이콧 시 법적대응 한다고 엄포를 놨다. 앞에서는 대화하자 하고 뒤에서 가차없이 공격했다"고 말했다.
특히 "정부는 6개월째로 접어드는 의료현장의 어려움으로 불안과 불편을 겪고 있는 환자와 국민에게 송구하다고 했는데, 송구한 정도가 아니라 앞으로 다시는 이전의 의료시스템을 누릴 수 없게 만든 것에 대해 정부는 석고대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협은 "이번 의료농단은 무근거 무분별한 의대 증원을 정부가 일방적으로 발표하면서 시작됐다"며 "2000명 의대정원 증원 정책의 진실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요청에 관한 청원이 단시간 만에 5만명을 넘겨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될 예정이다. 국회는 국민의 부름에 응답해 빠르게 국정조사를 추진해달라"고 요청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