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8.19 09:10

[뉴스웍스=박명수 기자]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경제 공약 중 식료품 대기업들의 과도한 가격 책정(이하 바가지)을 법으로 단속하겠다는 약속이 뜨거운 논쟁을 부르고 있다.
해리스 부통령은 지난 16일(현지시간)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경제 공약을 밝히면서 "식료품 바가지 가격을 연방 차원에서 금지할 것"이라면서 "대기업이 소비자들을 불공정하게 착취해 폭리를 취할 경우 새로운 규제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규정을 어기는 기업들을 수사해 처벌할 권한을 연방거래위원회(FTC)와 주법무장관에 부여하겠다고 했다.
'장바구니 물가'가 좀처럼 내려가지 않자 제시한 '비상 처방'이었다.
그러자 '사회주의적'이라고 공격하고 나선 경쟁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반응은 차치하더라도 중도·진보 성향 언론들까지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워싱턴포스트(WP)는 "많은 비평가들은 1970년대 리처드 닉슨 당시 대통령의 실패한 가격 통제를 거론한다"면서 "해리스 부통령은 '대기업 비난'이라는 덜 솔직한 길을 택했다"고 꼬집었다.
CNN방송도 문제를 해소하기보다는 문제를 더 만들 것이라는 게 일부 경제학자들의 견해라고 보도했다.
반면 일부 진보 성향 싱크탱크는 해리스 부통령의 '바가지 처단' 공약을 환영 또는 옹호했다.
진보 성향 싱크탱크인 '그라운드워크 콜라보레이티브'의 린제이 오웬스 집행이사는 "바가지 단속 법률이 상품 부족을 초래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것은 FTC와 같은 정부 기관들에 더 많은 권한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