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8.26 14:23

[뉴스웍스=백종훈 기자]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신형 전술 탄도미사일 이동식 발사대(TEL) 250대를 전방에 새로 배치한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해 "250여 대가 일단 언론에 공개됐기에 그 정도 발사대를 갖추고 있다고 본다"고 국회 정보위원회에 보고했다. 하지만 미사일 수급 능력에 대해서는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26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 전체회의'에서 미사일 발사 시 피해 범위 지역을 묻는 국회 정보위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여당 간사)과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야당 간사)의 질문에 국정원은 이 같이 밝혔다.
앞서 북한은 이달 5일 전술핵 탑재가 가능한 TEL 250대를 최전방 실전 배치하겠다고 밝히며, 관련 사진을 공개한 바 있다.
이 의원과 박 의원에 따르면 국정원은 "북한은 러시아와 군사협력을 통해 러시아로 무기를 지원해 주는 데 미사일이나 무기 생산 체계를 가동하고 있기에, 그 정도 (자체 이동식 발사대에) 조달하기는 어렵지 않겠냐"고 의견을 밝혔다.
미사일 발사 시 피해 범위 지역에 대해선 "미사일이 대략 110㎞ 정도 날아가기에 충청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최근 수해를 입은 북한 상황에 대해서도 보고했다.
북한 수해와 관련해 "인적·물적 피해는 평안북도에서 상당히 많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실제적 물적 피해가 많은 곳은 자강도로 분석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자강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은 평안북도를 직접 방문하고 1만명이 넘는 평안북도 주민들을 평양으로 초청했다"며 "실질적 피해가 많이 발생한 자강도에 군사시설이 밀집돼 있는데 이런 것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로 안 가는 것 아니겠느냐고 분석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어 "체제 관리 차원에서, 정권에 대한 신뢰도 형성을 위해 김 위원장이 평안북도 위주로 가고 주민을 평양으로 초청한 것이라고 분석된다"고 덧붙였다.
국정원은 또 "러시아가 수해 관련 구호물자를 지원하겠다고 했고, 이에 김 위원장이 감사 표시를 했다"고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