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9.03 10:56
9300여 대 참여…경기도 '파업 대비' 전세·관용버스 422대 투입

[뉴스웍스=정민서 기자] 경기도 31개 시군의 노선버스 9000여 대의 파업 여부가 오늘 결정된다. 최종 협상 결렬 시 내일 첫차 운행부터 전체 노선의 90%가량이 멈추게 돼 교통 대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노조)는 3일 오후 3시부터 경기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에서 사용자 단체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과 최종 조정 회의를 진행한다.
노조는 기존 요구 사항인 ▲1일 2교대제 전환 최대 6개월 유예 조항 폐지 ▲서울시 수준의 임금 인상 ▲탄력근로제 연장 반대를 유지할 방침이다.
특히 노사는 임금 인상률에서 가장 큰 이견을 보인다. 노조 측은 경기지역 준공영제 노선의 경우 12.32%, 민영제 노선의 경우 21.86%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사용자 단체는 재정 여건상 준공영제 노선은 4.48%, 민영제 노선은 5% 이상의 임금 인상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1일 2교대제 등 역시 현 체제를 유지하겠다며 수용 불가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조정 회의는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양측은 지난달 28일 열린 1차 조정 회의 때도 임금 인상 폭 등에 대한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전날 담화문을 통해 "노조는 합리적 수준의 임금 인상안과 사고 징계 완화 등 단체협상의 보편타당한 개정을 요구했다"며 "그런데도 사용자와 도는 재정 악화 등 뻔한 논리로 우리의 정당한 요구를 외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번 조정 회의 결렬 시 4일 첫 차부터 무기한 전면 파업에 돌입할 것"이라며 "어설픈 타협은 없다는 점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파업 여부는 이날 늦은 오후나 다음 날 자정을 넘겨 결정될 전망이다.
앞서 노조는 지난달 22일 조합원들을 상대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해 98.3%의 찬성률로 파업을 가결했다.
이번 교섭에는 도내 31개 시군 45개 버스업체의 조합원 1만6000여 명이 참여하는 가운데 협상 결렬 시 도내 노선버스의 90%인 9300여 대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울 등을 오가는 광역버스 2200여 대도 포함돼 시민들의 불편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도는 파업 실행 직전까지 노사 간 합의를 유도하는 한편, 파업 시 시군 및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등 유관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24시간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다.
도는 파업 기간 시군별 버스 이용 수요가 많은 주요 지역과 지하철역을 탑승 거점으로 지정하고, 전세 및 관용 버스 422대를 투입해 탑승 거점 간 순환 운행 방식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또 마을버스 운행 시간을 연장하고 예비 차량을 시내버스 파업노선에 투입할 계획이다. 개인·일반 택시 운행을 독려하고 버스정류장 주변에 택시가 집중 배차되도록 유도한다. 의정부·김포·용인 경전철도 운행 시간 연장 및 증회·증차를 시행하고, 수도권 전철의 운행 시간 연장 및 증회·증차가 이뤄질 수 있도록 서울교통공사 및 코레일과 협의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