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24.09.25 11:25
정성호 민주당 의원이 지난 23일 국회에서 열린 '미래를 여는 의회민주주의포럼 3차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출처=정성호 의원 페이스북)
정성호 민주당 의원이 지난 23일 국회에서 열린 '미래를 여는 의회민주주의포럼 3차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출처=정성호 의원 페이스북)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친명계(친이재명계) 좌장'격인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를 아예 폐기하는 게 나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금투세 시행에 대한 당내 입장 정리가 지연되면서 세간에서 '금투세는 재명세'라는 비판 여론이 커지자, 내심 금투세를 폐지하고픈 '명심'(이재명의 마음)이 반영된 발언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야권에선 정성호 의원의 발언이 사실상 '명심'을 투영하고 있다는 시각이 적잖기 때문이다.   

정 의원은 25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처음에는 유예 입장이었는데 최근 상황을 보니 유예하는 것이 시장의 불안정성을 더 심화시킬 것 같다"며 "(금투세는) 폐기하는 게 낫다는 게 개인적 생각"이라고 밝혔다.

비록 사견임을 전제로 했지만 민주당내에서 정 의원의 위상으로 보면 그냥 단순한 사견이 아닌 이재명 대표의 심중을 반영한 것일 수 있는 만큼, 향후 금투세 관련 당론 채택에는 '유예' 혹은 '시행'보다는 '폐지'가 유력 대안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정 의원은 또 "민주당이 집권해서 주식시장을 살려놓은 다음에 처음부터 다시 검토하는 게 낫다"며 "지금처럼 갈등이 심화한 상태에선 유예 정도로 정리될 것 같지 않다"고 피력했다.

아울러 전날 진행된 당내 금투세 '찬반 토론'에 대해선 "갈등을 해소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강화, 증폭시키는 과정이었다"며 "토론에 맡길 게 아니라 지도부가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관련 법 개정을 당론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엔 "국민의 관심이 크고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의원 자유투표가 아닌) 당의 입장을 정하는 게 책임 있는 정당의 모습"이라면서도 "결국 최종적으로 (당내) 합의가 안 될 때는 다수결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