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1.08 14:22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기간이 연장된 가운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함께 영장 집행에 나서게 될 경찰이 언제쯤 윤 대통령 체포에 나서게 될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윤 대통령이 머무는 것으로 알려진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는 현재 철조망과 버스벽 등으로 요새화 돼 있는 상태다. 공수처 등과 공조수사본부를 꾸린 경찰은 체포작전의 시점과 방식 등에 대해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 일각에서는 체포영장을 다시 받은 만큼 즉각 작전에 돌입해 강력한 수사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시간을 오래 끌수록 대통령경호처 등 상대의 준비도 더욱 공고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속전속결로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반면, 시간을 들여서라도 정교한 작전계획을 세워 실패 가능성을 줄이면서 단 한 번의 실행 만으로 윤 대통령의 신병을 확보하는 게 더 낫다는 의견도 만만찮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경호처의 수뇌부를 무력화한 뒤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하는 방안을 병행하는 분위기다. 경찰은 박종준 경호처장을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해 오는 10일 3차 출석 요구를 했다. 박 처장이 이날도 불응한다면 그에 대한 체포영장 신청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만일, 입건된 경호처 간부들에 대한 체포영장을 함께 받아 윤 대통령 체포와 함께 집행할 경우 경호처의 힘을 빼놓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경찰은 2차 영장 집행에 투입될 인력에 대한 고민도 있다. 지난 1차 시도 당시엔 관저로 진입한 공수처 검사와 경찰 등은 경호처와 군인들에 가로막혀 집행이 무산된 바 있다. 경찰은 지난번보다는 인원을 보강해 영장 집행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시도가 사실상 마지막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가용 인력을 최대한 투입할 것으로 관측된다.
경호처는 물론 관저를 지키는 군이 모두 개인 화기로 무장된 인력이기에 기동대·특공대의 투입은 물론, 장갑차·헬기 등 특수 장비를 투입해 일거에 제압하는 방안도 경찰 안팎에서 거론되고 있다.
아울러, 1차 집행 당시보다는 인원을 보강하면서도 형사들이 최소한의 장비만 가지고 투입돼 충돌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제기된다. 하지만 1차 당시처럼 경호처의 격렬한 저항을 뚫지 못한다면 상당한 비판은 물론 '수사 실패'라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할 수 있는 만큼, 이보다는 중장비와 최대 인력을 동원해 일거에 대통령 경호처 인력을 제압하는 방식이 유력할 것으로 관측된다.
관련기사
- 오동운 "尹 체포 무산 국민께 죄송…마지막 각오로 2차 집행할 것"
- 오동운 공수처장 "2차 영장집행이 마지막…비장한 각오로 목적 달성"
- 尹측 "내란죄 철회는 소추 사유 80% 없어진 것…각하해야"
- 박찬대 "'공수처, 매우 실망…영장 재발부해 尹 반드시 체포해야"
- 최상목 "尹 체포영장 집행 시 시민 부상이나 기관 간 충돌없어야"
- [출근길 브리핑-1월 9일]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서울 전역 한파주의보·쌍특검법 재표결서 또 '부결'·삼성전자 '어닝쇼크'·경찰 '尹 체포 작전' 고심
- 외신기자 만난 尹측 "영장발급 판사, 법률 적용 전부 잘못해"
- 경찰 출석 박종준 경호처장 "대통령 신분 걸맞은 영장집행 이뤄져야"
- 박종준 前 경호처장, 경찰 두 번째 출석…김성훈 차장 세 번째 불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