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3.17 12:52
안덕근 장관 (사진제공=산업부)
안덕근 장관 (사진제공=산업부)

[뉴스웍스/세종=정승양 대기자]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이번 주 미국에서 크리스 라이트 미 에너지부 장관을 만나 한미 에너지 협력을 주된 의제로 협의하는 일정을 잡고 있다.

올해 들어 안 장관의 방미는 1월 초와 2월 26~28일(현지시간)에 이어 세 번째로, 2월 방문 후 3주만에 이뤄지는 것이다. 한국이 미국 정부가 지정하는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에 오른 것으로 확인된 것을 비롯해 한미 통상 현안들이 그만큼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반증이다.

정부 관계자는 17일 "미국 측과 일정에 대한 상호 합의가 이뤄지면 안 장관이 금주 후반쯤 미국을 방문할 수 있다"며 "알래스카 가스 개발, 원전 협력 등 에너지 분야 주요 이슈가 주된 협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안 장관의 이번 재 방미는 한국이 미국 정부가 지정하는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에 포함된 사실이 확인된 가운데 이뤄지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미국 측의 한국에 대한 청구서는 빠르게 쌓여가고 있다. 미국은 오는 4월 2일을 기해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 상호관세도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상황이며, 한국에 대한 미국의 민감국가 지정이 발효되는 시점을 오는 4월 5일로 잡는 등 촉박한 일정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민감국가 지정 후 규제가 현실화하면 향후 한국 연구자들이 미 정부가 추진하는 원자력, 인공지능(AI), 양자 등 첨단기술 연구에 참여하기가 어려워진다. 미국이 지정한 기존 민감국가로는 중국, 러시아, 시리아, 북한 등이 있다.

이번 안 장관의 방미와 별개로 3월 13∼14일(현지시간) 워싱턴 D.C.를 방문했던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을 면담하고 상호관세 면제를 요청하면서 한국이 다른 국가보다 불리한 대우를 받아서는 안 된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이런 상황에서 세 번째 미국 출장길에 오르는 안장관은 기존 통상협상 주제와 별개로 한국이 '민감국가'로 지정된 배경과 미국 측 입장을 집중해서 확인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다음달 15일 민감국가 지정 효력 발효 전까지 한국을 민감국가에서 배제하는 방안을 검토해달라는 우리 정부 측 요청을 강조해서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안 장관의 이번 방미가 산업부 장관보다는 정부 대표 자격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는 민감국가 지정과 관련된 사안을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으며 미 정부와 긴밀하게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의회 연설에서 직접 한국의 참여를 희망한 알래스카 가스 개발이나 원전 분야 협력 등 미국 측이 적극 희망해온 사안들과 연계해 민감국가 지정 문제도 묶어서 풀어나갈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