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3.12 15:08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HMM 상트페테르부르크'호 (사진제공=HMM)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HMM 상트페테르부르크'호 (사진제공=HMM)

[뉴스웍스/세종=정승양 대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추진해온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가 현지시간 12일 0시 (미국 동부 표준시 기준·한국 시간 12일 오후 1시)를 기해 발효된 첫날 정부는 경제단체, 업계, 학계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민관합동 회의를 열고 관세전쟁 전략 회의를 열었다.

정부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이 대미(對美) 주요 수출품인 만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주시하면서 다음 달 초로 예고된 상호관세 및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로 관세 전쟁이 확전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민관합동 미국 관세조치 대응전략 회의'를 개최하고 앞서 방미기간 이뤄졌던 대미 협상 동향 및 향후 계획을 공유했다. 이어 미국 관세 조치의 영향과 장단기 대응 전략에 대한 논의도 가졌다.

안 장관은 "산업부는 1월 말부터 비상 대비 태세를 갖추고 업계와 밀착 소통하며 대응해왔다"며 "4월 초 예고된 상호관세 부과 등을 앞두고 대응체계를 더욱 강화해 산업계의 이익을 최대한 보호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 컴백 후 관세카드를 꺼내든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조치에 이어 다음달 2일에는 세계 각국의 대미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 등을 고려해 적용하는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안 장관은 이어 "미국 측과 통상교섭본부장 등 고위급 및 실무 협의를 밀도 있게 진행하는 한편, 여타 주요국의 대응 동향을 모니터링해 산업계의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안 장관은 그러면서 업계 차원에서도 미국 내 이해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아웃리치 활동을 전개하고, 정부와 실시간으로 동향을 공유해달라고 당부했다.

산업부는 철강 관세를 시작으로 향후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업계 설명회, 헬프데스크 운영, 제3국 시장 개척 및 생산기지 이전 컨설팅 등을 진행할 방침이다. 아울러 자동차 등 업종별 경쟁력 강화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미국측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조치는 2기 트럼프 출범 후 한국 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첫 사례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