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03.19 13:26
(자료제공=중소기업중앙회)
(자료제공=중소기업중앙회)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폐업한 소상공인들이 평균 1억원 수준의 빚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상공인 10명 가운데 4명은 창업 3년을 채우지 못하고 폐업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021년 이후 노란우산(소기업소상공인공제) 폐업공제금을 지급받은 폐업 소상공인 82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폐업 소상공인 실태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폐업 소상공인들은 폐업한 사업체의 창업 이유(복수응답)로 생계유지(65.4%), 직장 생활보다 더 많은 수익을 얻기 위해(45.0%), 적성·경험을 살리기 위해(40.7%) 순으로 답했다.

창업 후 폐업까지의 영업 기간은 평균 6.5년이었고, 3년 미만의 단기 폐업자 비율은 39.9%에 달했다.

폐업 사유로는 수익성 악화·매출 부진(86.7%), 적성·가족 등 개인사정(28.7%), 신규 사업 창업·준비(26.0%), 임대기간 만료·행정 처분 등 불가피한 사유(21.8%) 등으로 조사됐다.

수익성 악화 및 매출 부진의 원인으로는 내수 부진에 따른 고객 감소(52.2%), 인건비 상승(49.4%), 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재료비 부담 증가(46.0%), 임대료 등 고정비용 상승(44.6%) 등이 확인됐다.

숙박·음식점업의 경우 온라인플랫폼의 비용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앱·숙박앱 등 온라인플랫폼사의 수수료·광고비 부담(35.6%)이 평균(16.3%) 대비 높았다.

폐업을 결심한 시점 기준 부채액은 평균 1억236만원이며, 소요된 폐업 비용은 평균 2188만원이었다.

제조업의 평균 부채액은 1억4441만원으로 숙박·음식점업(9046만원) 대비 1.5배 이상 높고, 평균 폐업 비용도 제조업이 3859만원으로 숙박·음식점업(1219만원)보다 3배 이상 높아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폐업 비용 지원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폐업 절차 진행 시 주된 애로 사항으로는 폐업 후 생계유지 방안 마련(31.1%) 권리금 회수·업체 양도(24.3%), 대출금 상환(22.9%) 등이었다.

폐업 진행과정에서 노란우산 공제금이 도움이 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71.1%였다. 응답자의 58.9%가 공제금을 생계비로 사용했다고 답해 노란우산이 폐업 소상공인의 생활 안정을 위한 사회 안전망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소상공인 발전을 위해 필요한 정책 우선순위로는 장기 대출 상품 전환 및 이자 감면 등 채무부담 완화 정책(63.9%), 임대료·전기료 등 고정비용 경감 정책(51.0%), 폐업 시 재기·생계 유지를 위한 노란우산제도 강화(44.4%), 빈 점포 등 상권 슬럼화 방지를 위한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30.5%) 등이 꼽혔다.

성공적인 재창업을 위해서는 재창업자금 지원(44.5%), 채무 조정(22.9%), 내수 활성화 정책(17.4%)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생산의 주체이자 소비의 주체이기도 한 소상공인의 급격한 붕괴는 복지비용 등 우리 경제가 부담해야 할 사회적 비용이 그만큼 커진다는 의미"라며 "정부의 재교육 강화와 전직 장려금 확대를 통해 폐업 소상공인의 제조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한다면 소상공인 간 경쟁을 완화하고 중소제조업의 인력난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