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영환 기자
  • 입력 2025.03.25 16:55

전남대, 893명 중 30여 명 복학 신청…조선대도 복귀 저조
정부 "학칙대로 처리" 입장 고수…대체 인력 계획 없어

[뉴스웍스=김영환 기자] 광주지역 의과대학에서 대규모 제적 사태가 현실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전남대학교는 650여 명의 의대생에게 제적 예정 통보를 시작했고, 조선대학교도 복학 신청 마감 시한을 앞두고 있으나 복귀 학생 수는 극히 적은 상황이다. 의대 증원 정책에 대한 집단 반발이 학사 운영의 중단, 의료 인력의 단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5일 교육계에 따르면, 전남대학교는 24일 기준 전체 의과대학 재학생 893명 중 30여 명만 복학 신청을 완료해 복귀율이 5% 미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의정 갈등 여파로 발생한 동맹휴학 당시 약 650명이 휴학했고, 이들 중 다수가 복학하지 않으면서 전남대는 학칙에 따라 제적 예정을 공식 통보했다.

전남대는 미복학 학생들에게 제적 통보서를 발송했으며, 이의 신청 기간이 경과되면 다음달 9일부터 제적 효력이 발생한다. 복학 신청 누락이나 정상 출석 등의 사유는 소명 절차를 거칠 수 있으나, 학교 측은 "구제 방안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선대학교도 상황은 유사하다. 조선대는 수업일수 4분의 1선인 이달 28일까지 복학 신청을 마감할 예정이지만, 25일 기준 대규모 복귀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 조선대 총 재학생 878명 중 689명이 여전히 휴학 중이며, 이번 학기 복학 등록 인원은 189명에 불과하다.

두 대학은 제적자 발생 이후의 대체 인력 충원이나 편입학 확대 계획은 마련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따라 지역 내 의대 교육 시스템의 붕괴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지역 병원 인턴·레지던트 수급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교육부는 "올해 더는 학사 유연화나 대규모 휴학 승인을 하기는 어렵다"면서 제적 통보 이후 별도 구제책을 마련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복학을 방해하거나 지연시키는 행위에 대해서는 엄정 대응하겠다고도 밝혔다.

지역 의료계 한 관계자는 "정부와 정치권이 빠른 대화와 소통에 나서야 한다"며 "제적된 학생들의 공백은 결국 수련 단계에서부터 지역 의료기관에 영향을 주며, 피해는 국민들에게 돌아간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