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명수 기자
  • 입력 2025.03.28 11:04
도요타자동차 생산공장. (출처=도요타 홈페이지)
도요타자동차 생산공장. (출처=도요타 홈페이지)

[뉴스웍스=박명수 기자] 일본 정부와 산업계가 크게 우려했던 미국의 수입차 추가 관세 부과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발표로 현실화하면서 일본 경제 전체가 엄청난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한 대로 미국이 내달 3일부터 수입차에 25% 추가 관세를 부과해 일본산 차량의 대미 수출길이 완전히 막힐 경우 최대 13조엔(약 126조원)의 경제 가치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28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이 소비한 금액보다 60% 많고, 일본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2% 남짓에 해당하는 수치다.

물론 닛케이 추산은 지난해 6조261억엔(약 58조5000억원)에 달했던 일본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0엔'이 된다는 가정에 기반한 것이지만, 대미 수출이 10%만 줄어도 일본 경제에 12조원가량의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는 이번 관세 조치 영향으로 일본의 실질 GDP가 최대 0.52% 하락하고, 일본 기업이 관세에 따른 추가 비용을 자동차 가격에 전가할 경우 미국 내 신차 판매량이 11.9% 감소할 것으로 추측했다.

닛케이는 "철강과 유통 등 관련 산업에도 파급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제조에 운송, 판매 등 관련 부문을 합치면 자동차 업계에 종사하는 인구가 558만명에 이른다고 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미국의 자동차 추가 관세로 도요타의 영업이익이 30% 정도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특히 마쓰다와 스바루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산케이신문은 일본 자동차 업계가 미국의 관세 방침에 대응할 대책이 결국 비용 절감, 가격 인상, 공급망 이전 등 세 가지라고 짚었다.

마이니치신문은 "신규 공장 건설은 일반적으로 계획부터 4년 전후가 걸려 완성 시에는 정권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며 "미국 내 생산 증가에 따라 일본의 수출용 차량 생산이 줄어들면 산업 공동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마이니치에 "'미국인가 일본인가'라는 두 가지 선택만 하고 싶지는 않다"면서도 뾰족한 해결책이 없다는 취지로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