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04.15 18:31

2028년 1인당 GDP 4만1000달러 돌파

최상목 부총리가 지난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킴엥 탄 S&P 국가신용등급 아태 총괄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최상목 부총리가 지난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킴엥 탄 S&P 국가신용등급 아태 총괄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우리나리의 국가신용등급을 'AA'로 유지했다. 등급전망도 기존과 같은 '안정적(stable)'을 부여했다. 국가신용등급을 유지하면서 우리 경제에 대한 견고한 신뢰를 재확인했다.

1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S&P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및 전망을 'AA, 안정적'으로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S&P는 2016년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상향 조정 후 지속 유지 중이다. 국내 정치 상황과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통상 환경 변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도 국가신용등급을 유지하기로 결정하면서 한국의 대외신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S&P는 "향후 3~5년 동안 한국 경제가 다소 둔화되겠지만, 대부분의 고소득 국가들보다는 높은 평균 성장률을 유지할 것"이라며 "GDP 성장률은 국제 무역 여건 악화 등으로 올해 1.2%로 둔화됐다가 내년 2.0%로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2025~2028년 동안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매년 약 2% 추세로 성장하면서 2028년에는 1인당 GDP가 4만1000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S&P는 "한국의 제도·정책적 환경이 국가신용을 뒷받침하는 중요 요소"라며 "예상치 못한 비상계엄 선포로 정치적 안정성에 대한 신뢰가 다소 손상됐으나, 신속한 계엄령 철회와 대응이 악영향을 완화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통령 선거 일정이 확정되기까지 정해진 법규정과 절차가 적절하게 지켜짐으로써 사회적·경제적 안정에 큰 지장을 초래하지는 않았다"며 "일련의 과정에서 정책 기관들의 적극적 정책 대응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경제·금융 시스템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최근 확대된 정치적 분열이 지속될 경우 차기 정부의 정책 추진 동력이 약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S&P는 정부 재정 적자가 향후 3~4년 동안 적정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봤다. 2025년 GDP 대비 일반정부 재정수지 적자는 -0.8% 수준으로, 양호한 세입 여건에 따라 2024년(-1.0%)에 비해서는 소폭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2025~2026년에는 미국 관세에 따른 수출 영향 및 세계 경제 둔화가 세입 부문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해 건전재정 기조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