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4.16 10:47
경제 정책 발표…혁신성장 위한 3대 전략 제안

[뉴스웍스=정민서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 참여하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6일 경제 분야 정책 비전을 발표했다. 그는 "국가투자시대로 모두의 번영과 지속 가능한 선진국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향후 5년간 민관 합동 100조원을 투입해 AI·기후경제 대전환을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김 전 지사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전략적 투자를 중심축으로 한 '혁신성장 3대 전략'을 제시했다.
그는 "우선 대기업은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갈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정부는 벤처와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 집중해 성장 방식의 혁신을 이루겠다"며 "김대중 정부의 벤처 육성 정책이 IMF 위기를 기회로 전환했듯 실패해도 도전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이 혁신 성장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최우선 전략으로 인공지능(AI) 전환과 기후경제를 언급했다. 그는 "지금 중요한 것은 '무엇을 할 것인가'가 아닌 '어떻게 할 것인가'"라며 "한국형 전환모델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산업 맞춤형 AI 프로젝트, 5대 첨단기술(R&D) 분야 국가전략기술기금 50조원 조성 등이 핵심이다.
아울러 메가시티를 중심으로 한 균형 발전을 내세웠다. 김 전 지사는 "수도권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전국이 혁신의 무대가 돼야 한다"며 5대 권역별 메가시티 구축과 자율예산 30조원, 광역교통망 확충을 통한 '5개 성장 축' 완성을 약속했다.
이와 함께 '인재공화국'을 제시했다. 지역 청년들이 특성화 연구중심대학과 지산학연 체계에서 혁신을 이끄는 구조를 만들겠다는 의미다. 그는 "출발선이 공정한 나라, 모두에게 공정한 기회는 희망이 아닌 현실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김 전 지사는 국가의 투자역할도 강조했다. 그는 "혁신의 리스크는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며 ▲민간 벤처 모펀드 5년간 50조원 조성 ▲5대 메가시티별 정책금융기관(지역투자은행) 설립 ▲가상자산 제도 정비 ▲대체 자산 육성 ▲디지털 금융 전환을 위한 스테이블 코인 검토 등을 통해 기업 도전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녹색산업 투자 복원 계획도 내놓았다. 김 전 지사는 "윤석열 정부에서 후퇴한 녹색산업 투자를 복원하겠다"며 "올해 기준 10조원인 녹색산업 예산을 매년 1조원씩 증액하고, 민간 투자를 35조원까지 늘려 2030년 이후에는 매년 50조원의 녹색투자가 이뤄지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런 투자를 위한 재정 전략도 밝혔다. 김 전 지사는 "17%대로 떨어진 조세부담률을 OECD 평균에 근접한 22% 이상으로 높여야 한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감세 기조는 중단해야 한다"며 "내가 낸 세금이 헛되이 쓰이지 않을 것이라는 국민의 신뢰를 먼저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국민이 성장의 주인공이 되는 경제, 정부가 과감히 투자하는 경제야말로 대한민국의 전 분야 경쟁력을 끌어올릴 해법"이라며, "정치가 만든 민주주의 이상으로 국민이 경제에서 보여줄 역동성에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공약 발표와 함께 경선 캠프 구성을 소개했다. 캠프는 연대와 연합의 덧셈 정치를 실현한다는 뜻으로 '더하기 캠프'라고 명명했다. 더하기 캠프 좌장은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맡았다.
김 전 지사는 "통상적인 선거대책본부나 선거대책위원회 체계가 아닌 수평·청년·네트워크형 정책 싱크탱크 등 세 축으로 구성됐다"며 "캠프 슬로건은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의 민주주의 정신을 회복하고 빛의 연대·연정으로 국민의 마음을 함께 모은다는 의미로 '다시 함께'라고 정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