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민문식 기자
  • 입력 2025.07.11 13:39

전문가들, 온열질환 피해 시스템 개선 요구
맞춤형 대응 매뉴얼 시급히 마련해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바닥분수에서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사진=뉴스웍스 DB)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바닥분수에서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사진=뉴스웍스 DB)

[뉴스웍스=민문식 기자] 7월 광주·전남 지역이 역대 최장기간 폭염과 최고 기온을 기록하면서 심각한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온열질환 환자 급증, 가축 집단 폐사, 도시 인프라 피해, 취약계층의 고통이 현실화돼 기후위기에 대한 근본적 대응과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11일 광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광주·전남 지역의 폭염 특보는 지난달 29일부터 이날까지 14일째 지속되고 있다. 광주 조선대에서는 최고 기온이 38.3도를 기록했으며, 에어컨 실외기 화재가 잇따라 광주시 소방안전본부 집계 기준 약 400명이 긴급 대피했다.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5월 15일부터  이번달 10일까지 광주·전남에서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총 10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전라남도는 폭염으로 인한 가축 피해가 154개 농장에서 총 9만5532마리에 이르며, 하루 최대 1만4017마리가 폐사했다고 밝혔다.

영산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지속된 폭염으로 인해 주암댐과 동복댐 등 주요 저수지의 저수율이 평년 대비 20~60% 수준으로 낮아져 수자원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각 지자체는 폭염쉼터 운영, 농민 지원, 물 절약 등의 긴급 조치를 시행하고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전남노동권익센터와 전남대학교병원은 야외 노동 중 발생한 사망 사고 등 일부 피해 사례가 공식 통계에서 누락돼 실제 피해가 더욱 심각하다고 밝혔다. 피해자들은 "현장의 피해 규모는 통계 수치보다 훨씬 크다"며 정확한 피해 집계와 실질적 지원책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광주·전남의 반복되는 폭염 피해가 기후위기 가속화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하며, 온열질환과 가축 피해에 대한 통계 시스템 개선, 실시간 피해 현황 집계 시스템 구축, 농민과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대응 매뉴얼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또한 장기적인 수자원 확보와 도시 기반시설의 내진 및 내열 설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역 기후 연구소 한 관계자는 "광주·전남에서 반복되는 폭염 피해는 기후 변화로 인한 구조적 현상"이라며 "긴급 대응 차원을 넘어, 정확한 통계와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한 중장기 정책 마련을 통해 기후 적응형 지역공동체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