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영환 기자
  • 입력 2025.09.16 12:49

광주 AI 데이터센터·2단계 사업 추진
전남 해상풍력단지·에너지 기본소득 구상
5년간 첨단산업 125조 부가가치 효과 '기대'
민간 75조 조달 과제·성과관리 체계 '숙제'

[뉴스웍스=김영환 기자] 150조원 규모로 확대된 국가성장기금이 광주·전남 지역 산업구조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광주는 인공지능 중심도시, 전남은 재생에너지 허브 전략을 추진하며 성장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16일 정부에 따르면, 국가성장기금은 첨단전략산업펀드 75조원과 민간·연기금·금융·공공자본 75조원으로 구성된다. 향후 5년간 인공지능, 반도체, 바이오, 모빌리티 등 10대 첨단산업에 투자해 최대 125조원의 부가가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지원 방식은 지분투자, 인프라 투자, 초저금리 융자 등으로 다양화되며, 한국산업은행이 운영을 총괄한다.

광주는 국가 AI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AI 허브 도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첨단3지구에 위치한 데이터센터는 2000여 개 AI 칩을 운영하며, 올해 GPU 경쟁률은 2.69대 1, 고성능 GPU 경쟁률은 5.2대 1을 기록했다.

국가 AI데이터센터.(사진제공=광주광역시)
국가 AI데이터센터.(사진제공=광주광역시)

2021~2024년 동안 1946건의 프로젝트를 지원했고, 611편의 연구 성과가 논문으로 전환됐다. 지난 8월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광주 AI 2단계 사업은 5년간 6000억원을 투입해 자율주행, AI 기반 에너지 등 첨단 모빌리티 기술과 시민 생활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2단계는 시민의 삶 속에서 AI가 본격적으로 작동하는 시기"라고 설명했다.

광주에는 현재 276개 인공지능 기업이 집적돼 있으며, 158개 기업이 현지 사무소를 열어 637명을 고용하고 있다. 매년 약 4000명의 AI·반도체 전문 인력이 배출되고 2000건 이상의 연구개발 과제가 지원되면서 인프라-기업-인재로 이어지는 생태계가 구축됐다.

전남은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허브 구축을 진행 중이다. 지난 4월 신안 해역이 3.2G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로 지정돼 20조원의 민간투자가 계획됐다. 전남은 125GW의 해상풍력 잠재력을 보유해 전국의 32%를 차지하며, 2023년 기준 재생에너지 발전량 5.99GW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이와 관련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 15일 '에너지 기본소득 1조원 시대'를 선언하며 재생에너지 수익을 주민에게 환원하는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신안군은 연간 1118GWh의 전력을 생산하며 주민 펀드 조성에도 나섰다.

영광 약수 해상풍력 발전현장. (사진제공=전남개발공사)
영광 약수 해상풍력 발전현장. (사진제공=전남개발공사)

전남의 해상풍력 산업은 지역 산업 연계 및 주민 수익모델 개발을 통해 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 대학 교수는 "해상풍력 산업 확산이 지역경제와 주민 소득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성장펀드에 관해 민간자금 75조원 조달은 가장 큰 과제로 꼽힌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50조원도 부담이었는데 추가 25조원까지 요구돼 자금 조달 압박이 심화됐다"고 지적했다. 벤처투자 업계는 연기금·민간자본이 대규모로 흡수되는 'LP 블랙홀' 현상을 경고했다.

과거 녹색금융펀드, 통일펀드, 뉴딜펀드가 성과 부진으로 중도 종료된 사례도 부담 요인이다. 감사원은 정책자금 운용의 비효율을 지속적으로 지적해왔으며, 2023년에는 108억원 규모의 예산 낭비 사례가 적발됐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국가성장기금의 성패는 투명한 성과 관리와 안정적 민간자금 유치에 달려 있다"며 "광주와 전남이 중앙정부와 협력해 지속 가능한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