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9.23 20:00

[뉴스웍스=박광하 기자] SK텔레콤, KT, 롯데카드 등 연쇄 해킹 사태 속에서도 정부가 지원하는 보안 인재 양성 규모가 연간 40명에 불과해 현장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올해 여러 통신, 금융 대기업에서 대형 해킹 사고가 연쇄적으로 발생했다. 4월 18일 SK텔레콤 유심정보 유출 사태를 시작으로, KT 내부시스템 서버 해킹 정황 확인, 롯데카드 297만 고객정보 유출까지 한국은 해킹 피해를 톡톡히 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정헌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광진갑)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확인한 결과, 정부의 '융합보안 핵심인재 양성 지원사업'을 통해 2019년부터 올해까지 고려대·성균관대·강원대 등 8개 대학에서 배출된 보안 인력이 총 325명으로, 연평균 40.6명에 불과했다고 23일 지적했다.
해당 사업은 산학 연계 프로젝트, 실습장 구축 등을 포함해 6년간 총 60억원 가량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아직 초창기인 '정보보호 특성화대학교 지원사업'의 졸업생이 2개 대학 28명에 그치고 있어, 현재까지는 융합보안 핵심인재 양성 사업이 보안인력 양성의 주력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문제는 해킹 사태가 심화하는 와중에도 해당 사업 예산이 삭감되고 있다는 점이다. 융합보안 핵심인재 양성 지원사업 예산은 2022년 58억원, 2023년 68억원, 2024년 88억원까지 증가했으나, 올해는 62억원으로 줄어들었다. 기금 사업 특성상 재원 구조가 불안정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에 따라 올해 신규 대학 선정도 이뤄지지 못했다. 다만 올해 예산안은 민주당이 주도해 일방적으로 통과시켰던 점에서 민주당이 이 문제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는 비판 목소리도 나온다.
현장 보안인력 부족 상황도 심각하다. 과기부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국내 기업의 전체 보안 담당자 7만9963명 중 63.8%에 달하는 5만1012명이 겸업 형태로 보안 업무를 맡고 있다. 전업 보안 담당자는 2만2747명(28.4%)에 불과하다.
신입 사이버보안 인력 확보가 어려운 이유에 대해 정부 실태조사에 참여한 5709개 기업 중 28.4%(1621개)가 '지역 내 인력 풀 부족'을 1순위로 꼽았다. 보안 수요는 급증하는데 전문 인력은 턱없이 부족해, 해킹 위협에 대응할 현장 방어력이 점점 약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 세계적으로도 사이버보안 인재 부족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사이버시크 집계 결과 현재 필요한 사이버보안 일자리의 약 83%만을 채울 수 있는 상황으로 조사됐다.
이정헌 의원은 "대형 해킹 사태가 터져 나오는데 융합보안 핵심 인재 양성 지원사업은 올해 부산대·충남대 등 5개 학교도 기한 만료로 사업이 종료될 예정"이라며 "현장의 애로사항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보안 전문 인력 양성을 늘리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은 22일 "통신·금융사의 연이은 해킹 사고 및 국민 피해를 엄중히 보고 과기부, 금융위원회, 개인정보위원회, 국정원 등 관계 부처와 함께 정보보호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