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명수 기자
  • 입력 2025.10.30 09:23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출처=연준 홈페이지)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출처=연준 홈페이지)

[뉴스웍스=박명수 기자]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29일(현지시간) 오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는 것은 기정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이날 연준이 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3.75∼4.00%로 0.25%포인트 인하하기로 결정한 뒤,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오늘 회의에서 위원 간 강한 견해차가 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파월 의장은 금융시장이 12월 연준의 금리 인하를 예상해온 것에 대해서도 "12월 추가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다"라고 재차 강조한 뒤 "그것이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말하고 싶다"라고 지적했다.

12월 금리 인하를 거의 '기정사실'로 여겨온 시장은 원론적 입장으로 해석될 수도 있는 파월 의장의 이 같은 발언을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으로 받아들였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오는 12월 FOMC에서 연준이 금리를 추가로 0.25%포인트 이상 인하할 확률을 66%로 낮춰 반영했다. 하루 전만 해도 이 확률은 91%였다.

실제로 이날 FOMC 결정에서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금리 동결 의견을 냈다. 반면 '트럼프의 경제 책사'로 불리는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직전 회의 때와 마찬가지로 '빅컷'(0.5%포인트 인하) 의견을 내 파월 의장이 언급한 '강한 견해차'를 반영했다.

이와 함께 파월 의장은 연준이 양적긴축(QT·대차대조표 축소)을 12월 1일 종료한다고 예고한 것과 관련, 만기가 도래한 주택저당증권(MBS) 자금을 미 재무부 단기국채에 재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미 재무부가 장기채 대신 단기채 발행 비중을 늘린 게 단기자금시장을 압박한 요인이라는 지적에 대해 "그게 (자금시장 압박의) 요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라고 인정했다.

대차대조표 축소라고 불리는 양적 긴축은 연준이 보유 중인 채권을 매각하거나 만기 후 재투자하지 않는 식으로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중앙은행이 채권을 사들이면서 시중에 통화를 공급하는 양적완화(QE)의 반대 개념이다.

월가 일각에서는 최근 미국 단기자금시장에 변동성이 커지면서 시장 불안감을 조성함에 따라 연준이 양적긴축 종료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을 제기해왔다.

미국 내 천문학적인 규모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자본투자가 진행되는 가운데 금리 인하가 거품을 조장할 우려가 없느냐는 질의에는 "데이터센터 투자가 금리 변화에 민감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