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신탁
  • 입력 2015.06.05 12:03

최근 5년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32만명, 2030 급여총액 비중 37%

국민건강보험공단이 4일 ‘최근 5년간(2010-2014)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실태’ 자료를 기획재정위원회를 통해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노동시장에 새롭게 진입한 40대 이상 직장인은 213만 명이지만 30대 이하 직장인은 32만 명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부모세대와 자식세대가 같은 취업시장에서 경쟁을 벌이고 있다는 뜻이다.

연령대별로 나눠보면 30대 이하 직장인 가입자는 총 648만3,747명으로 5.2%늘어난 반면 40대 이상 가입자는 601만6,640명에서 815만5,867명으로 35.6%나 늘어났다. 40대 이상 직장인 비율이 전체 건강보험 신규 가입자 중 무려 86.9%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대로 건강보험에 가입된 30대 이하 직장인 비중은 5년 만에 급격하게 줄어들어 6.31% 포인트 줄어든 44.29%로 떨어졌다.

현재 대한민국의 전체 인구 비중에서 2030세대는 5년 전보다 1.7% 포인트 줄어들었지만 건강보험 가입자 숫자와 비교했을 때 2030세대가 줄어든 것보다 취업 자리가 줄어든 것이다.

이로서 30대 이하 직장인이 크게 줄어들면서 전체 급여총액에서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집계 결과 37.28%로 2010년 42.75%에서 크게 낮아져 ‘세대간 소득 양극화’가 더욱 심해졌음을 알 수 있다.

건강보험 직장인 가입자 중 30대 이하 비중이 줄어든 것은 청년실업률은 물론이며, 이 연령대의 청년들이 비정규직에 많이 고용되어 4대 보험 적용을 받지 못하는 점도 중요하다는 이유로 떠올랐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3월 비정규직 건강보험 가입률은 45.2%에 불과하다.

이번 ‘최근 5년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실태’ 자료를 발표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박맹우 의원은 “부모와 자식 세대간의 ‘일자리 전쟁’이 시작됐으며, 세대간 소득 양극화가 심각해 사회적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소득 재분배 정책 점검과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도록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