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신탁
  • 입력 2015.06.09 14:02

상장사 일자리 창출능력 4년 만에 1/6로 줄어들어

(서울=뉴스웍스) 신탁 기자 = 국내 상장기업들의 일자리 창출능력이 경기침체와 불확실성을 이유로 4년 만에 6분의1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통계청과 금융정보 제공업체인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상장사 1,749곳의 국내 부문 전체 고용인 수는 151만4,02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대비 증가폭이 2.0%에 불과한 것으로 1.4%를 기록했던 글로벌 금융위기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앞서 지난 4월 청년(15~29세) 실업률이 10.2%로 통계가 시작된 이래 4월 수치로 최고 기록을 갱신한 바 있다.

 

따라서 신속하게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일자리 창출 돌파구를 마련하지 않는다면 상당스 청년들이 구직을 포기하는 쪽으로 돌아설 수도 있다. 더욱이 당장 내년부터 정년연장제도가 시행되면서 향후 2~3년 동안 ‘고용절벽’이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나 기업들이 아직 마땅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같은 통계는 고용 대책에 대한 우려를 심화시키고 있다.

 

상장사들은 2010년 11만 4,958명을 기점으로 매년 일자리 창출을 평균 3만 건씩 줄여온 것으로 조사됐다. 2013년 5만 3,712명으로 소폭 증가하는가 싶더니 다시 지난해 3만250명으로 크게 낮아졌다.

 

매년 늘어나는 전체 취업자 가운데 상장사가 차지하는 고용기여도도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2014년 취업자 수 증가폭은 53만3,000명으로 12년 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했는데 이 중 상장사가 고용에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5.7%에 불과했다. 2010년 정점을 찍었던 시기에 35.6%를 자치했던 것과 비교할때 4년 만에 6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셈이다.

 

특히 고용 규모가 큰 대기업들의 일자리 창출도가 낮아졌다. 고용자 수 상위 20위 상장사들의 직원증가율은 2013년 5.5%에서 지난해 1.5%로 떨어졌다. 상대적으로 재무구조, 복리후생 등이 견실한 상장사들의 일자리 창출 기여도가 낮아졌다는 점은 그만큼 고용 시장에서 고품질의 일자리가 줄어들었다는 얘기다.

 

이같은 흐름은 향후 몇 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내년부터 정년이 60세로 연장되며 통상임금 범위가 확대돼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꺼릴 것이 확실시된다. 반면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경제활성화 법안은 아직 국회 문턱도 넘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2~3년은 청년고용이 힘들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와 기업 모두가 문제의식을 갖고 임금피크제, 근무시간 단축 등 사회적 합의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더불어 "현재 묶여있는 경제활성화 법안의 통과가 시급하고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동시장 구조개혁도 빠르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