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진형 기자
  • 입력 2023.05.25 10:55

온라인서 간편하게 대출 갈아타기 가능…우량고객 이탈 시 리스크관리 구멍 걱정

시중은행 대출창구 모습. (사진=뉴스웍스 DB)
시중은행 대출창구 모습. (사진=뉴스웍스 DB)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오는 31일부터 대환대출서비스가 시작된다. 이에 시중은행뿐만 아니라 카드사, 저축은행 등 각 금융사는 관련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소비자 입장에선 더 쉽게 대출상품을 비교하고 금리를 갈아탈 수 있어 기대감이 크다. 하지만 금융사는 자칫 고객을 뺏길 수 있는 만큼 불안감이 큰 상황이다. 결국 신용도가 높은 고객을 잡기 위해 우대금리를 더 주는 출혈경쟁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대환대출서비스 참여 금융사는 총 51개사다. 이들은 제휴 플랫폼을 선택하고 소비자들에게 신규 대출상품을 제시할 예정이다.

대출상품을 비교할 수 있는 플랫폼은 23개 기업이 참여한다.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토스, 핀다 등 핀테크 기업이 준비 중이다. 금융사 중 신한은행이 독자 대출플랫폼 출격을 예고한 상황이다.

방식은 새로운 대출을 제공하는 금융회사가 소비자의 대출금을 대신 상환하고 소비자는 새 대출을 받는 형식이다.

고객으로선 조금이라도 더 낮은 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이미 토스의 ‘대출 갈아타기’ 사전 신청자 수는 30만명을 넘어섰다.

우리은행도 경쟁사 고객을 뺏어오기 위해 강수를 뒀다. 우리은행은 오는 30일까지 ‘신용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이용해 기존 대출을 우리은행 신용대출로 갈아타면 중도상환해약금 및 인지세 비용으로 최대 10만원까지 돌려준다.

서비스 개시 알람을 카카오톡이나 SNS로 공유하면 네이버페이 포인트 3000원권을 선착순 3000명에게 제공한다.

이처럼 자금력이 풍부한 금융사의 경우 고객을 유인할 여유가 있지만 그렇지 못한 금융사는 오히려 고객을 뺏길 걱정부터 앞선다.

실제 금융당국 계획상에는 53개 금융회사가 참여할 예정이었지만 저축은행, 캐피탈 각 1곳이 이탈했다.

플랫폼 입점도 대형 시중은행만 확정했을 뿐 다른 금융회사는 아직 상품 탑재를 위한 계약을 완료하지 못했다. 특히 금리 경쟁력에서 밀리는 저축은행의 입장이 난처한 상황이다.

일단 금융당국도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환 대상을 신규 취급된 신용대출 금액의 10%로 제한했다. 규모로 봤을 땐 약 12조원 수준이지만 우량 고객이 이동할 경우 저축은행엔 연체율이 높은 고객만 남을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서비스 개시 전이라 고객 이탈을 예상할 수 없지만, 금리 경쟁이 치열할 경우 우량 고객을 뺏길 수 있단 불안감은 있다”며 “현재 금융시장이 악화하고 있어 리스크관리가 최우선인 상황에서 우량 고객까지 뺏기면 부실채권만 남는다”고 걱정했다.

금융위원회가 구상하고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 개념도 (자료제공=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가 구상하고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 개념도 (자료제공=금융위원회)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