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현준 기자
  • 입력 2024.09.22 17:14

[뉴스웍스=정현준㈜ 기자] 고려아연이 "영풍과 MBK파트너스가 기업의 재무 상태를 자의적 기준에 따라 왜곡하며 이른바 '통계 조작'을 이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고려아연은 22일 보도자료를 통해 "영풍과 MBK파트너스는 시장의 대표 지표나 기업 재무구조 평가에서 최고의 공신력을 가진 신용평가사의 분석 결과 대신, 자의적인 기준을 적용하고 데이터를 입맛에 맞게 가공했다"고 지적했다.

앞서 MBK파트너스는 고려아연의 부채 규모가 2019년 410억원에 비해 올해 상반기 1조4110억원으로 35배 증가했고, 같은 기간 순현금도 2019년 2조5000억원에서 올해 말 440억원 순부채로 전환할 것이라는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고려아연은 "6월 말 기준 부채비율은 36.5%로, 같은 기간 코스피 상장사의 연결 부채비율은 113.11%"라며 "올해 연말에도 순 현금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하반기 별도 기준 영업활동현금흐름은 최소 3000억원에서 최대 5700억원이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고려아연은 "MBK파트너스는 적대적 인수합병(M&A)을 시도하기 위해 금융기관으로부터 9개월짜리 단기 자금 1조5000억원을 빌렸고, 이에 따른 이자 비용은 약 640억원이나 된다"며 "정·재계를 넘어 소액주주 연대와 울산시, 울산의 각종 경제단체와 사회단체가 앞장서 투기자본의 적대적 M&A를 규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MBK는 경영권을 확보한 뒤 배당금을 지난해보다 1만원 높은 2만5000원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는데, 늘어난 배당금의 절반은 MBK와 영풍의 호주머니로 들어간다"며 "이는 단기자금 이자를 갚기 위해 사전에 짠 계획으로 8개월짜리 자금을 빌린 건 고려아연의 풍부한 현금성 자산을 현금화한 뒤 추가 배당을 통해 또다시 원금을 갚을 수 있는 돈을 빼내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다"고 주장했다.

MBK파트너스와 영풍이 "38개의 투자사 중 30개에서 순손실이 났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고려아연은 '투자 실패'로 몰아가는 '말장난'에 불과하다고 날을 세웠다.

고려아연은 "초기 투자 비용으로 인해 사업 초기 재무제표가 마이너스라고 해당 사업을 접어야 한다는 주장에 어떤 기업인이 동의하겠나"라고 반문하며 "영혼이 없는 투기자본, 단기차익 실현과 수익률 극대화만을 생각하는 MBK는 기업가 정신과 기업의 미래를 생각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고려아연은 "당사만의 독보적 기술력과 밸류체인을 이해하지 못하고 고려아연의 경영권을 가져가겠다는 투기자본의 책상물림과 무지함에 당사 임직원들은 큰 두려움과 모멸감을 느낀다"며 "국가기간산업을 한 번도 운영한 적 없는 투기자본 MBK와 적자에 허덕이고, 대표이사들이 중대재해로 구속된 영풍과 그 경영진이 제대로 고려아연을 경영할 역량을 갖췄다고 할 수 있겠냐"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