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1.23 12:57
무안국제공항 사고현장의 콘크리트 재질 방위각 시설. (사진=뉴스1)
무안국제공항 사고현장의 콘크리트 재질 방위각 시설. (사진=뉴스1)

[뉴스웍스/세종=정승양 대기자] 정부가 저비용항공사(LCC)의 운항 안전기준 준수 여부를 집중적으로 감독하고 수준 미달일 경우 ‘운항증명 정지’ 등 강력히 제재한다. LCC들은 항공기 가동률을 낮춰 정비시간을 집중 확보하고 조종사 훈련과 안전투자 등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23일 박상우 장관 주재로 김포국제공항에서 국내 9개 LCC 최고경영자(CEO)와 'LCC 항공안전 특별점검 회의'를 열어 이 같은 안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이후 LCC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된 이날 회의에는 제주항공·티웨이항공·이스타항공·에어부산·진에어·에어서울·에어인천·에어프레미아·에어로케이 등 9개 LCC 대표들이 참석했다. 

국토부는 이날 항공기 가동률, 정비 기준 준수 여부, 신규 항공기 도입 전 검증 절차를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숙련된 전문 운항정비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인력 산출기준도 개선한다. 현행 정비인력 기준은 경력이 2년 이상이면 ‘숙련된 정비사’로 판단해 기준이 너무 낮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특히 안전기준에 미달하는 항공사에는 운항증명 정지 등 강력한 제재를 부과하고, 안전사고가 빈번한 항공사 정보를 대외공개할 방침이다. 운항증명이 정지되면 상업 운항을 할 수 없게 돼 항공사업을 포기해야 한다. 아울러 안전투자를 위한 재무역량과 전문성 등이 확보되지 않은 항공사는 강도높게 관리키로 했다. 

각 항공사들은 이날 항공기 가동률을 낮춰 추가적인 정비시간을 확보하고 정비품질을 높이기 위한 정비사를 확충하겠다는 내용의 안전강화 방안을 제시했다. 제주항공의 경우 항공기 가동률을 일평균 14시간에서 12.8시간으로 약 9%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또 운항정비 인력을 현재 309명에서 350명으로 늘리기 위해 연내 41명을 추가 채용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LCC가 수익 추구에만 급급하고 근본적인 안전개혁을 단행하지 않으면 항공산업의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며 “오는 4월까지 항공안전 혁신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