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이한익 기자
  • 입력 2025.02.04 22:50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제1차장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스1)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제1차장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이한익 기자]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전화 통화로 '이번 기회에 싹 다 정리하라, 국정원에 대공수사권을 줄테니 도우라'는 취지로 말했다고 인정했다.

홍 전 차장은 4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증언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이번 기회에 싹 다 정리해, 국정원에 대공수사권 줄 테니 도와'라는 취지로 말한 것이 맞느냐"는 국회 측 질문에 "그렇게 기억한다"고 말했다. 

또 "당시 통화 내용을 보면 대상자, 목표물을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뭔가를 잡아야 한다는 생각만 했다"고 답했다. 

다만 홍 전 차장은 "대상자를 규정할 수 없어 누구를 잡아야 한다는 것까지는 잘 몰랐다"며 이를 파악하기 위해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에게 전화했다고 설명했다.

'여 전 사령관이 사용한 정확한 워딩이 체포조였느냐'는 국회 측 질문에 "네"라고 답했다. '여 전 사령관이 불러준 체포조 명단 받아적었느냐'는 질의에도 "맞다"고 했다.

홍 전 차장은 "방첩사령관이 명단을 불러주는데 포켓에 있던 메모지에 적었다"며 "적다보니 '이게 뭐지'라는 생각이 들어서 뒷부분은 적지 않았다. 14~16명 정도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체포 명단을 보고 뭔가 잘못됐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덧붙였다.

홍 전 차장은 "체포 명단에 포함된 인물들의 위치 추적은 하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국정원은 영장 없이 위치 추적을) 할 수 없다"라며 "하지만 비상계엄 상황이었고, 대통령 지시면 상당히 초법적인 상황에서 이뤄져야 하는가 잠시 고민한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반면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에게 '방첩사를 도우라'는 취지로 말했으며 이 얘기는 비상계엄과 무관했다고 해명했다.

윤 대통령은 "만약 계엄에 대해 국정원에 지시하거나 부탁할 일이 있으면 국정원장에게 직접 하지, 차장에게 하지 않는다"며 "1차장에게 계엄과 관련한 부탁을 한다는 건 비상식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정원에 방첩사를 도와주라는 이야기는 간첩 검거 사안을 도와주라는 뜻"라며 "계엄 사안과 관계 없는 이야기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