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2.11 12:52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6%로 대폭 낮췄다. 국내외 불확실성이 장기화할 경우 더 낮아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11일 KDI가 내놓은 '수정 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6% 성장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작년 11월에 내놓은 2.0%보다 0.4%포인트나 낮춘 것이다. 한국은행(1.6~1.7%)과 유사한 수준이다.
KDI는 "최근 내수 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그 동안 높았던 수출 증가세마저 조정되면서 성장세가 약화하고 있다"며 하향 조정 이유를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 소비 증가율 전망치를 기존 1.8%에서 1.6%로 낮췄다. 수출은 통상환경 악화를 이유로 기존 2.1%에서 1.8%로 낮췄다. 특히 상품 수출 전망치는 종전 1.9%에서 1.5%로 하향 조정됐다. 투자의 경우 2.1%에서 2.0%로 소폭 낮췄고, 건설투자는 -0.7%에서 -1.2%로 낙폭을 키웠다.
경상수지 흑자 폭 전망치도 930억 달러에서 897억 달러로 내렸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6%, 근원물가 상승률도 1.5%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했다. 취업자 수는 기존 전망보다 4000명 감소한 10만명 증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비상계엄 후폭풍은 2분기로 넘어가면서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종전 전망 때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인상이 시간을 두고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속도가 생각보다 빨랐다"며 "이에 따른 불확실성이 매우 커진 상황으로 미국 정부 정책에 따른 통상 갈등이 더욱 격화하거나, 정국 불안이 예상보다 장기화한다면 성장률은 1.6%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