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2.23 09:17
국토부 "불가" vs. 광주시 "필수"…엇갈린 시선
무안군 반발 "군공항 이전 노림수" 의혹 제기

[뉴스웍스=김영환 기자] 광주시의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운항 추진이 논란이다. 정부와 국토교통부는 현실적 한계를 이유로 반대 입장을 고수하며, 지역사회 내 의견도 엇갈린다.
국제선 운항을 위해선 출입국관리소, 세관, 검역 등 필수 시설과 행정 절차가 필요하다. 국토부는 "국내선 전용 공항에서 국제선 운항은 엄격한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광주공항은 이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군공항 특성상 국방부 협의도 필수다.
광주시는 무안국제공항 폐쇄로 인한 관광업계 피해를 이유로 국제선 운항을 추진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18일 "제주항공 참사 이후 관광업계에서 300억원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고, 광주시민이 애용하는 무안공항의 정상화 일정이 명확하지 않아 국제선 운항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광주공항은 국제선 운영 경험이 있으며, 2개월 내 운항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정부 반대가 지속되는 가운데, 8~10월 사이 무안공항 정상화가 예상되면서 국제선 운항 필요성이 낮아지고 있다.
논의가 광주·전남 간 갈등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전남도와 무안군은 초반 반대했으나, 최근 전남도는 찬성으로 선회하며 정부와 협의 의사를 밝혔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 19일 도정 회의에서 "광주 관광업계를 위해 단기간 국제선 운항을 국토부와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무안군과 시민단체는 "광주시의 국제선 추진이 군공항 이전을 위한 정치적 카드일 수 있다"며 반발했다.
무안공항 정상화가 올 해 8~10월로 예상되면서 국제선 임시 운항이 불필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이에 광주시의 추진이 지역 갈등을 키울 가능성이 제기된다.
광주공항 국제선 추진은 관광업계 피해 완화와 경제 활성화를 명분으로 하지만, 현실적 한계와 갈등 심화 우려가 크다.
전문가들은 "단기 대책만 반복하면 실질적 성과 없이 논란만 커질 수 있다"며 "광주·전남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종합 정책이 필요하다"며 "유관기관, 전문가, 관광업계가 협력해 TF팀을 구성하고 장기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번 논의가 단기 대책이 아닌 광주·전남 관광업의 지속 발전을 위한 전환점이 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역 관광업계 관계자는 "보여주기식 대책이 아닌 지속 가능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실질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단기 대책에만 의존하면 논란만 커질 수 있다"며 "광주·전남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장기적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공항 정책은 지역 경제와 관광의 핵심이므로 장기적 비전과 협력이 필수"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