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3.17 09:04
상호관세 불가피할 듯

[뉴스웍스=박명수 기자] 미국 정부가 1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부터 부과를 예고한 '상호관세'와 관련, 무역 상대국과 새로운 무역 협정 체결을 언급했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한국도 발등에 불이 떨어지게 됐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이날 CBS 방송 인터뷰에서 "공정성과 상호성이라는 새로운 기준을 바탕으로, 양측 모두에 이익이 되는 새로운 무역 협정을 위해 전 세계 국가들과 양자 협상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루비오 장관의 이러한 언급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의 배경을 설명하면서 나왔다.
루비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거세게 비판해온 유럽연합(EU)에 대해 "30∼40년간 우리는 다른 나라들이 우리를 불공정하게 대하는 것을 허용해 왔다. 대부분은 냉전 시대였는데, 이유는 그들이 부유하고 번영하기를 원했기 때문"이라며 "이제는 변해야 한다. EU의 경제 규모는 우리와 거의 비슷하고 저임금 경제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무역의 현 상태를 바꿔 새로운 현 상태를 설정하겠다"면서 "그들이 원한다면 그 후에 협상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펼치고 있는 글로벌 관세전쟁에서 4월 2일 상호관세로 선제공격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역 상대국과 협상을 통해 새로운 무역협정을 맺어 무역 질서를 재편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이날 루비오 장관은 캐나다와 멕시코, 유럽연합(EU) 등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관세를 매개 삼아 거세게 공격해온 국가들과 경제 권역만 거론했고, 한국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우선순위 표적으로 삼고 있는 이들 국가 못지않게 한국 역시 미국의 주요 무역상대국이라는 점에서 그 대상에 오를 수 있다는 관측이 많다.
한국에 대한 미국의 요구 내용과 압박 수위는 내달 2일 공개될 것으로 예고된 국가별 상호관세에서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이후 한미는 양자 간 협상을 통해 이미 발효 중인 한미 FTA를 개정하는 수준으로 새 협정을 마무리 지을지, 기존 한미 FTA를 대체하는 새로운 무역협정을 체결할지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 이미 한 차례 한미 FTA 폐기를 위협함으로써 FTA 재협상을 끌어냈고 부분 개정을 관철해낸 바 있다.
무엇보다 미국은 우선 한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대폭적인 관세 인상을 반영하고자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미국 측은 관세뿐만 아니라 미국 기업에 부담이 되고 미국 무역적자의 원인이라고 판단되는 한국의 모든 정책과 규제 등을 문제 삼을 것으로 관측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