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4.10 09:14

[뉴스웍스=박명수 기자] 유럽연합(EU)이 내주부터 미국 공화당 텃밭 수출 상품을 겨냥해 최고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한다. 당초 예고한 것보다는 대상 품목과 관세율을 낮추면서 협상의 문을 열어뒀다.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9일(현지시간) 철강관세 보복조치에 대한 회원국 표결이 가결돼 오는 15일부터 관세 징수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27개국 중 유일하게 헝가리가 반대표를 던졌으나, 시행 저지를 위한 정족수엔 한참 못 미쳤다.
집행위는 "미국이 공정하고 균형잡힌 협상 결과에 합의한다면 이러한 대응조치는 언제든지 중단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합의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연쇄적인 관세 부과 결정 이후 EU가 확정한 첫 보복조치다. 집행위가 초안을 발표한 지 약 한 달 만에 확정된 것이기도 하다.
집행위는 이날 가결된 확정안을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언론에 사전 유출된 67쪽 분량의 보복관세 목록에 따르면 담배, 오토바이, 가전, 가금류, 목재 등 총 220억유로(약 36조원) 규모 미국산 상품에 10∼25% 추가관세가 부과된다.
공화당 텃밭 지역 상품과, 대유럽 수출 의존도가 높은 상품이다.
집행위는 당초 260억유로(약 42조원) 규모로 대응할 계획이었지만 회원국 의견 수렴 과정에서 일부 품목이 삭제됐다. EU산 주류에 2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재반격 경고'에 프랑스, 이탈리아 등 회원국이 강한 우려를 제기한 미국의 버번위스키가 제외된 것이 대표적이다.
보복 관세율도 계획보다 낮췄다. 누적 관세율이 5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최고 관세율은 25%에 그칠 전망이다. 할리데이비슨 오토바이의 경우 집행위 초안으로는 관세율이 현행 6%에서 56%로 오를 예정이었지만, 유출된 최종안대로라면 31% 관세가 부과된다.
집행위는 확정안을 오는 15일, 내달 16일, 12월 등 세 단계에 걸쳐 단계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특히 '민감한 품목'일수록 보복관세 부과 시점을 늦췄다. 협상 카드로 남겨두려는 것으로 보인다. 가령 미국산 대두는 12월에야 보복관세 부과가 시작되는데, 대두는 이번 보복관세 목록에서 가장 상징적이며 핵심 품목으로 꼽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