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4.24 09:02

[뉴스웍스=박명수 기자]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23일(현지시간) "미국이 안보와 열린 시장을 계속 제공하면 동맹국들은 공동의 방어에 대한 더 강한 헌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금융연구소(IIF) 주최 연설 및 대담 행사에서 "글로벌 경제관계는 안보 파트너십을 반영해야 한다고 믿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안보 파트너들은 호혜적인 무역을 위해 구성된, 공존가능한 경제 구조를 가질 가능성이 더 높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유럽국가들이 최근 국방비 지출을 확대하기로 한 것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작동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자평했다.
이는 한일 등 동맹국들과 관세를 포함한 무역과, 산업, 안보 등을 포괄하는 '원스톱' 합의를 하길 희망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을 뒷받침하는 논리로 풀이된다.
특히 한미가 24일 워싱턴에서 재무 및 통상 담당 장관 간의 2+2 연석 회담을 갖고 미국의 대한국 상호관세(25%) 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인 상황에서 이 같은 발언이 나왔다는 점이 주목된다. 베선트 장관은 한미 2+2 회담에 미측 대표로 참여한다.
한국 정부는 방위비 분담금(주한미군 주둔비용 중 한국의 부담액)과 같은 안보 이슈는 경제, 무역과 별개라는 입장이지만 베선트 장관이 회담에서 한국에 방위비 분담금 또는 국방예산 증액 등을 요구할 가능성이 주목되는 것이다.
베선트 장관은 이와 함께 자국과 날선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을 의 경제 발전 모델을 비판했다.
그는 중국의 경제 모델이 "지속적으로 (무역) 불균형을 만든다"면서 "이대로 가면 중국의 현재 모델은 중국을 해칠 뿐 아니라 전 세계를 해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베선트 장관은 "내가 이전에 말했지만 (미중간) 빅딜의 기회는 있다"며 초고율 관세로 갈등을 빚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관세, 무역 등을 아우르는 포괄적 합의를 도출할 가능성이 있음을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