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04.24 14:55

중국 "순수 양식 목적의 시설로 영유권 무관"

23일 서울에서 '제3차 한중 해양협력대화'가 열리고 있다. (사진제공=외교부)
23일 서울에서 '제3차 한중 해양협력대화'가 열리고 있다. (사진제공=외교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우리 정부가 서해 잠정조치수역(PMZ)에 무단 설치한 중국의 구조물에 대해 깊은 우려를 전달했다. 

PMZ는 양국 어선이 함께 조업하고 양국 정부가 수산자원을 공동 관리중인 구역으로 양국은 2001년 어업협정에서 이 지역에 어업과 관계없는 시설물 설치나 지하자원 개발을 금지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24일 외교부에 따르면 한중 양국은 전날 서울에서 '제3차 한중 해양협력대화'를 열어 한중 간 해양 문제 전반을 폭넓게 협의했다.

'한중 해양협력대화'는 한중 간 해양 문제 전반에 대해 종합 논의하는 국장급 협의체로, 2019년 12월 양국 외교장관 간 합의에 따라 신설됐다. 2021년 4월, 2022년 6월 화상으로 개최됐고, 대면 회의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강영신 외교부 동북·중앙아국장은 서해상 중측 구조물에 대한 정부의 깊은 우려를 전달하고, 우리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해양권익이 침해돼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이병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서해 구조물 촬영 사진에 따르면 선란 1호와 선란 2호, 양식장 플랜트가 서해 잠정 조치 수역(PMZ)에 설치돼 있다.

이에 대해 훙량 변계해양사무국장 등 중국측은 해당 구조물이 순수 양식 목적의 시설로서 영유권이나 해양경계획정 문제와는 무관하다는 점을 설명했다. 

양측은 이 문제가 양국 관계 발전 흐름에 걸림돌이 돼서는 안된다는 공동 인식 아래 각급 채널을 통해 계속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

양측은 공동 치어 방류, 수색·구조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 현황을 평가하고, 향후에도 양국 간 해양 분야 실질협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우리측은 부산에서 제10차 아워오션 콘퍼런스(4월 28~30일)와 APEC 해양관계장관회의(4월 30~5월 1일)가 개최될 예정이라고 말했고, 중측은 성공적인 회의 개최를 적극 지지한다고 했다. 양측은 상호 편리한 시기에 중국에서 제4차 한중 해양협력대화를 개최하기로 하고, 각급 외교채널을 통해 서해 해양 질서의 안정적 관리와 실질협력 확대·심화를 위해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