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5.29 09:08
이재명·권영국 후보 '신재생 확대' vs 김문수 후보 '원전 부흥'
전남, 국내 첫 민간 해상풍력 가동…신재생에너지 중심지 도약

[뉴스웍스=김영환 기자] 6·3 조기대선을 앞두고 주요 정당과 후보들의 에너지 정책에 따라 전남의 신재생 에어지 산업 운명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에너지 전략이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원자력 발전 강화로 나뉘면서, 신재생에너지 중심지로 부상한 전남의 사례가 향후 국가적 정책 방향의 중요한 기준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29일 뉴스웍스 취재를 종합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40%까지 확대하고, 태양광과 풍력 중심의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원자력 발전 비중을 60%까지 늘리고 대형 원전 추가 건설과 소형모듈원전(SMR)의 조기 상용화를 핵심 공약으로 제시했다. 권영국 정의당 후보는 더욱 적극적인 신재생에너지 정책으로 2040년까지 원전 폐지와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 60% 달성을 목표로 내걸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제11차 장기전력수급계획(2025)'에 따르면, 2038년까지 원전 비중은 35.2%, 신재생에너지는 29.2%로 설정됐다. 주요 정책적 쟁점으로 산업계 전력 수요 증가, 전기요금 안정화, 지역 주민 수용성, 전력망 인프라 확충, RE100 기업 수요 대응 등이 꼽힌다.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2025년 석탄 발전량을 넘어설 전망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태양광과 풍력 발전의 단가 하락으로 신규 전력 수요의 절반 이상을 재생에너지가 담당할 것으로 분석했다. 원자력 발전 역시 글로벌 차원에서 사상 최고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적으로 전라남도는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전남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은 전국의 20%에 해당하는 약 6GW이며, 최근 국내 최초 민간 주도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Jeonnam 1'(96MW)이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전남은 2030년까지 해상풍력과 태양광을 합쳐 총 24GW 규모의 발전 용량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데이터센터 및 반도체 기업 유치를 통해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지역 정치계 한 관계자는 "이번 대통령 선거 결과에 따라 전남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신재생에너지 확대 여부가 지역의 산업 경쟁력과 기후 위기 대응 및 에너지 안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