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8.23 09:02
트럼프 대통령, SNS에 "인텔 지분 10% 완전 소유 및 통제"
TSMC·삼성전자 지분 인수 가능성…WSJ "美 투자사는 제외"

[뉴스웍스=안광석 기자] 미국 정부가 인텔의 최대주주가 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경영난을 겪고 있는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정부가 이제 더 놀라운 미래를 가진 위대한 미국 기업 인텔의 (지분)10%를 완전히 소유하고 통제한다고 보고드리게 돼 큰 영광"이라고 게재했다.
기존 인텔의 최대주주는 지분 8.92%를 보유한 미국의 자산운용사 블랙록이었다. 트럼프 대통령 글대로라면 이제는 미국 정부가 인텔의 최대주주가 되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이 거래를 인텔 최고 경영자인 립부 탄과 협상했다"며 "미국 정부는 (획득하는)이들 지분에 대해 아무것도 지불하지 않았으며, 현재 주식의 가치는 110억 달러(약 15조원)에 달한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거론한 미국 정부의 인텔 지분 10% 획득은 반도체법에 입각해 인텔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데 따른 반대급부 성격이다. 바이든 행정부 때인 지난 2024년 11월 미 상무부는 최첨단 반도체 역량을 발전시키고 일자리 수만 개를 창출하기 위해 인텔에 최대 78억6500만달러(약 10조9000억원)의 직접 자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인텔은 이를 포함해 총 109억 달러 규모의 정부 보조금을 받게 돼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조 추첨 일정 발표 행사에서 인텔 지분 획득 건을 소개한 뒤 "우리는 그와 같은 거래를 많이 한다. 나는 (그와 같은 거래를) 더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같이 대미 반도체 설비투자에 따른 보조금을 수령하는 기업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가 지분 인수를 시도하려 할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지난 19일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을 활용해 인텔의 지분 확보를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 발언을 계기로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처럼 미국의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을 수령하는 외국 기업인 TSMC와 삼성전자 지분도 확보하려 할 가능성이 거론됐다.
이와 관련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1일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을 주는 대가로 보조금 수령 기업의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미국 투자를 늘리고 있는 대형 업체들에 대해선 지분 확보를 추구할 계획이 없다고 행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