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09.22 15:34

"통신·금융권 정보보호 체계 재정비…'해킹과의 전쟁' 각오"

김민석 국무총리가 지난 12일 정부서울청사서 열린 을지연습 사후강평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무조정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지난 12일 정부서울청사서 열린 을지연습 사후강평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무조정실)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는 22일 최근 계속되는 통신사 및 금융사 해킹사고와 관련해 "사업자의 사고 은폐·축소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데 대해 문제가 없는지 밝히고, 문제가 있다면 분명하게 책임을 물어 모든 의혹을 낱낱이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통신사 및 금융사 해킹사고 관련 긴급 현안점검회의'를 주재해 "국민의 개인정보가 유출되고, 소중한 재산이 무단 결제된 점에 대해 정부는 대단히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올해 들어 통신사와 금융사에서 해킹사고가 연달아 발생하고 있다. 우선 4월에는 SKT 유심정보 유출사고가 확인됐다. 또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으로 현재까지 362명의 이용자가 약 2억4000만원의 피해를 입었고 KT 서버도 해킹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에는 롯데카드 서버가 해킹돼 회원 300여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이 가운데 28만명은 카드번호, 비밀번호, CVC 등 결제와 연관된 핵심정보가 모두 유출됐다.

김 총리는 "이것은 국민에 대한 위협이라고 판단한다"며 "관계부처는 연이은 해킹 사고가 안일한 대응 때문은 아닌가 하는 점을 깊이 반성하고 전반적인 점검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피해자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모든 피해구제 조치를 강구하고, 현재까지 파악된 피해 경로 외에 다른 경로에서는 숨겨진 피해자가 없는지 확인하겠다"며 "사고 원인이 무엇인지, 사업자의 보안관리 체계상 미흡한 점은 없었는지 철저하게 조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정부는 유사한 해킹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통신·금융권 정보보호 체계를 전면 재정비하겠다"며 "기업의 신고가 있어야만 조사가 가능했던 상황을 직권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권한을 강화하고, 보안 의무 위반에 대한 제재도 강화해 책임을 확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모든 관계부처는 정보보안 대책 마련을 최우선으로 두고 챙겨달라"며 "장관들은 '해킹과의 전쟁에 임한다'는 각오로 "유사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정부는 이달 말 '정보보호 종합대책'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