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광하 기자
  • 입력 2025.10.14 11:0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경. (사진=뉴스웍스 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경. (사진=뉴스웍스 DB)

[뉴스웍스=박광하 기자] 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이 254억3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부는 14일 이런 내용의 '2025년 9월 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지난달 ICT 수출은 254억3000만달러로 전년 동월(223억2000만달러) 대비 14.0% 증가했다. 이는 역대 최대 수출액이다. 수입은 137억8000만달러로 전년 동월(124억8000만달러) 대비 10.4% 증가하며 무역수지는 116억5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9월 ICT 수출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역대 최대 수출액을 달성했다. 무역수지는 올해 들어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역대 2위를 기록했다.

반도체 수출은 166억2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1.9% 증가하며 2개월 연이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메모리 반도체는 117억8000만달러로 35.1% 증가했다. D램, 낸드의 고정가격 상승세가 지속됐고, AI 서버 투자 확대에 따른 DDR5, HBM 등 고부가가치 메모리의 견조한 수요가 이어졌다. 

특히 D램은 51억달러로 38.5% 증가했다. DDR5 등 고부가 메모리 수출 증가, 가격 인상, 조기 재고 확보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억2000만달러 증가했다. 시스템 반도체는 42억6000만달러로 2.7% 감소했다. 패키징 등 후공정은 증가했으나 파운드리(위탁생산), 팹리스 물량이 감소했다.

디스플레이 수출은 19억2000만달러로 1.3% 증가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OLED는 14억4000만달러로 3.9% 증가했다. LCD는 2억7000만달러로 11.1% 감소했다.

통신장비 수출은 2억2000만달러로 38.3% 증가했다. 휴대전화 수출은 14억9000만달러로 10.7% 감소했다. 컴퓨터·주변기기는 14억7000만달러로 10.1%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타이완 수출이 42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반도체(40억8000만달러, 53.5%↑), 컴퓨터·주변기기(5000만달러, 65.9%↑)가 수출을 견인했다. DDR5, HBM 등 고부가 메모리(33억4000만달러, 103.2%↑)가 반도체 수출을 견인했다.

중국(홍콩 포함)은 92억4000만달러로 1.1% 증가했다. 반도체(68억1000만달러, 6.1%↑), 컴퓨터·주변기기(3억달러, 2.6%↑)의 수출 호조로 수출이 증가했다. 베트남은 40억6000만달러로 20.8% 증가했다. 모바일용 중심의 반도체(22억4000만달러, 33.5%↑) 수출이 전체 수출을 견인하며 회복세가 지속됐다.

유럽연합은 13억달러로 22.8% 증가했다. 미국은 29억1000만달러로 4.0% 감소했다. 중소·중견기업 ICT 수출은 55억4000만달러로 14.7% 증가했다. 중소기업은 17억3000만달러로 15.9% 증가했다.

9월 ICT 수입(137억8000만달러)은 디스플레이(3억6000만달러, 1.0%↑), 휴대전화(11억9000만달러, 22.8%↑), 컴퓨터·주변기기(14억9000만달러, 31.9%↑)의 증가로 전년 동월(124억8000만달러) 대비 10.4% 증가했다. 컴퓨터·주변기기는 중대형컴퓨터(3억5000만달러, 67.6%↑) 등 수입 증가세가 지속됐다. 

지역별로는 베트남(13억6000만달러, 20.0%↑), 미국(7억8000만달러, 5.1%↑) 등이 증가했다. 중국(홍콩포함, 45억8000만달러, 2.4%↓), 대만(23억4000만달러, 6.2%↓), 일본(11억1000만달러, 11.3%↓)은 감소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