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10.16 10:31
20일부터 아덱스(ADEX) 참석 방산 3사 통합부스 운영

[뉴스웍스=안광석 기자] 한화가 변화하는 안보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국방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인구절벽에 따른 병력 감소와 미래 전장에 대응하기 위한 AI 기술로 대한민국의 자주국방은 물론 국내 방산생태계를 조성해 경제 성장에도 기여하겠다는 것이다.
한화 방산 3사(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한화오션)는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AI Defense for Tomorrow’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 참가한다고 16일 밝혔다.
3사는 킨텍스 제2전시장 9홀에서 역대 최대인 1960㎡ 규모로 통합관을 운영한다. AI를 상징하는 대문자 에이(A) 형태로 설치된 전시관은 정중앙에 스페이스존(Zone)을 중심으로 총 10개 존으로 구성된다.
각 전시 구역별로는 AI 기술이 적용되는 제품이 대거 공개된다. PGM존에서는 한화의 차세대 수출전략 상품인 ‘배회형 정밀유도무기(L-PGW)’가 첫 전시된다. 다연장로켓 천무의 미래 버전 ‘천무 3.0’(지대지→지대함→L-PGW)의 핵심 구성품으로, 천무 80km급 로켓 몸체에 자폭드론이 전방부에 탑재돼 있다.
MUM-T(유무인복합) 존에서는 처음 전시되는 한국형 궤도형 무인지상차량(UGV) ‘테미스-K (THeMIS-K)’를 비롯해 ‘아리온스멧(Arion-SMET)’과 ‘그룬트(GRUNT)’ 등으로 이어지는 소형 UGV 라인업이 소개된다. 테미스-K는 유럽 최대 무인차량 기업인 밀렘로보틱스의 궤도형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원격사격통제체계(RCWS)를 장착해 한국 시장에 맞춰 최적화된 모델이다.
K9솔루션 존은 K9 자주포가 세계 최초의 유무인 복합 자주포인 K9A3로 발전해 나가는 로드맵을 제시한다. K9A2는 포탑 자동화로 운용 병력이 5명에서 3명으로 줄고, K9A3는 완전 무인화 된다.
한화오션은 해양 존에 AI를 통해 다양한 위협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차세대 전략 수상함을 선보인다. 한화시스템이 세계 최초로 전투체계(CMS)·통합기관제어체계(ECS)·통합함교체계(IBS)를 통합한 ‘스마트 배틀십’은 AI 기반 자동 표적인식과 교전관리 기능으로 최적의 임무수행 결과를 도출한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전시회에서 대한민국의 독자적인 감시정찰 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도 선보인다. 스페이스존에 4차 발사를 앞두고 있는 누리호를 비롯해 세계 최고 수준의 0.15m급 초고해상도(UHR) SAR 위성을 전시한다.
한화는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한 첨단 무기체계를 연결하는 ‘국방 소버린AI’ 기술에 대한 미래 비전도 상생협력존을 통해 공개한다. 국내 IT기업 및 중소·중견 기업과 협력해 보안이 핵심인 국방안보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술로 한국형 AI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대한민국을 둘러싼 안보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최첨단 AI 기술로 자주국방에 기여하고, 협력사들과 경쟁력 있는 국내 방산생태계를 조성해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스웨덴에 1500억원 MCS 추가 수출
- 한화, 美 AUSA 참가…'차륜형 K9A2'로 미군 자주포 현대화 제안
- 한화, 'KVLS-II' 개발 완료…민관협력으로 K방산 핵심기술 획득
- HD현대-한화, 韓 미래 달린 '조선·방산' 라이벌전 본격화
- 한화시스템, 세계 최고 해상도 'VLEO SAR 위성' 첫 공개
- 한화, 美 GE 에어로스페이스와 '함정 엔진 패키지' 공동개발
- 방산 빅4, 'KF-21' 수출동맹 결성
- [가보니] AI로 무장한 역대 최대 방산전시회…해외 軍도 '극찬'
- 한화, 건설·임팩트·세미텍 대표 인사…김우석·양기원·김재현 내정
